명상음악

금강경(金剛經) - Diamond sutra , 구마라즙.삼장 한역본, 우리말 번역, 현진스님 해설분.

black silk 2014. 9. 13. 22:30

 

 

 

 

금강경을 읽거나 독송 하는중에 그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생각해 보아도 어림 없는 일이고  간혹 이 귀절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하고있을까 하여 비교하여 보긴 해도 역시 잘모르겠는건 마찬가지 이더군요.그렇긴 해도 금강경에 관심 있는 분들께서 Diamond sutra  (영어 금강경)을 ,삼장법사 와 구마라즙이 번역한 한문 원본 과 더불어 한글 번역을 비교 검토 열람함은 유용할 것 이라 생각듭니다. (사구게를 먼저 올리고 틈나는데로 한문 원본과 한글 번역을 올리는중임)

 

 

Diamond sutra   금강경

 

 

 

 

 

Section I. The convocation of the assembly (法會因由分 第一   법회인유분 제일)

 

  

Thus have I heard. upon a time buddha sojourned in anathapindika's park by shravasti

with a great company of bhikshus,even twelve hundred and fifty.

One day,at the time for breaking fast,the world-honoured enrobed,and carrying

his bowl made his way into the great city of shravasti to beg for his food.

In the midst of the city, he begged from door to door according to rule. this done,

he returned to his retreat and took his meal. When he had finished he put away his robe

and begging bowl,washed his feet,arranged his seat,and sat down.

 

  法會因由分 第一   (법회인유분 제일)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

여시아문 일시 불 재사위국기수급고독원 여

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尒時 世尊 食時

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 이시 세존 식시

著衣持缽 入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次第乞

착의지발 입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

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缽 洗足已 敷座而坐

이 환지본처 반사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법회인유분 제 1 (법회가 열린 인연)


이와같이 내가듣다.
어느때에 부처님이 사위국의 급고독원
머무실때 큰비구들 일천이백 오십인과
더불어서 계시었다.
바로그때 세존께서 공양때에 가사입고
바루들고 사위큰성 들어가셔 걸식하다.
그성안을 차례차례 걸식하여 본래자리
돌아와서 공양드심 끝내고서 가사바루
거두시고 발을씻고 자리펴서 앉으셨다.

 

해설 : 법회인유분은 법회가 열리게 된 연유를 설명한 제목으로 되어 있으나 사실은 불타의 일상생활의 정황을 설명하고, 법회를 열기 위하여 자리에 앉으신 것까지 설명되어 있다.

 [금강경]은 부처님과 수보리사이에서 일어난 문답의형식이다.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의 의미는 “我” 는 수보리가 아닌 부처님과 수보리 사이의 대화를 목격한 제3자 즉 다문제일인 아난존자를 일컫는 말일 것이다.

 “사위국은 코살라왕국을 일컫는데 지금의 중인도 콘다주의 세트마헤트지대에 있던 파사익왕의 나라였다.

 현장의 [대당서역기]에 보면 코살라왕국은 남코살라왕국과 북코살라왕국의 수도가 사위성이며 이 곳에 기수급고독원 즉 코살라국의 왕자인 기타 태자가 기증한 그의 숲 기수에 수달다 장자의 황금으로 건축한 부처님 재세시 최대의 사찰인 기원정사가 있는 곳이다.

 이 실라벌이라는 음역에서 바로 우리나라의 옛 이름인 신라라는 국명이 유래된 것이다. “서라벌” “서벌”등으로 불리워진 신라는 “부처님이 계셨던 나라의 수도의 이름” “슈라바스띠”에서 온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이 바로 이 서벌에서 온 것음을 생각할 때, 우리나라의 수도의 이름도 부처님이 주로 설법하신 장소의 이름에서 왔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s" 발음이 ”sh"발음이나고, “v"발음이 ”위“ 발음이 난다는 것을 생각하면 서벌의 원음은 ”서월“이고 그것이 ”서울“이 된 것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내용의 뜻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의 상황을 머릿속에 그러보는 것이 더욱 중요, 새벽에 먼동이 틀 무렵 잠에서 깨어난 비구 스님들이 가사를 챙겨 입고 바리를 들고 1키로미터 떨어진 대 성안을 묵묵히 들어간다. 그리고 그 성안에서 차례로 밥을 빌고 다시 기원의 숲으로 돌아오는 평화롭고 웅장한 모습을 그려볼 수 있어야 한다.

 “차례”라는 말은 가나한 집, 부잣집을 불문하고 일체의 분별심을 버려 일곱집에서만 밥을 빌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옷과 바리를 거두시고”라는 의미는 부처님과 스님 들이 입는 옷을 “가사”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본시 옷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적갈색으로서 모든 원색이 없어진 색깔이라는 의미의 회색을 말한다.

스님의 가사는 본래(분소의)라고 부르는 것으로 공동묘지에서 시체를 싸다가 버린 천이나 쓰레기장에서 주운 천쪼각들을 꿰매어 염색한 것이다. 자기를 낮추는 지극한 표현. 삼의일발(옷 세벌 발우 일벌)의 발우를 깨끗이 씻고 곁 옷을 곱게 개 제자리 갖다놓는 의식을 수의발이라 하였다.

 “발을 씻는다.”는 발 씻음으로 맨발로 2키로 이상을 갔다 왔다면 그 발은 더러움 것이 뻔하다. 이 발을 씻음은 더러움을 씻는다는 물리적 행위 그 이상의 제식적 의미(身業淸淨)가 있다. 부처님은 보통의 인간처럼 맨발로 다니고 흙이 묻은 발을 씻는 지극히 평범한 인간이며 누구를 시켜서 청소하지 않고 스스로 행하는 지극히 평범함을 보여 주고 있다. 부처는 이처럼 가장 평범한 생활 속에서 비범한 신성의 경계를 세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부처의 경계인 것이다. 이 장명에서 초기불교의 건강한 모습, 각자의 건강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자리를 펴고 앉으시거늘”는 길상초위에 가부좌를 틀고 단정히 앉는 것을 말한다. 

 

 

 

 

Section Ⅱ.Subhuti makes a request (善現起請分 第二   선현기청분 제이)

  

 

Now in the midst of the assembly was the venerable Subhuti. Forthwith he arose

,uncovered his right shoulder,knelt upon his right knee,and,respectfully raising his hands

with palms joined,addressed buddha thus : world-honoured one, it is most precious

How mindful the tathagata is of all the bodhisattvas,protecting and instructing them so well!

world-honoured one,if good men and good women seek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by what criteria should they abide and how should they control their thoughts?

Buddha said : very good,subhuti! just as you say,the tathagatha is ever-mindful of all the

bodhisattvas,protecting and instructing them well. Now listen and take my words to heart:

i will declare to you by what criteria good men and good women seeking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should abide,and how they should control their thoughts.

Said subhti: pray,do,world-honoured one. With joyful anticipation we long to hear.

 

 善現起請分 第二   선현기청분 제이

 

時 長老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시 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右膝著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希有世尊 如來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불언 희유세존 여래

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世尊 善男子善

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세존 선남자선

女人 發阿?多羅三?三菩提心 應云何住 云

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응운하주 운

何降伏其心 佛言 善哉善哉 須菩提 如汝所說

하항복기심 불언 선재선재 수보리 여여소설

如來 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汝今諦聽

여래 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여금체청

當爲汝說 善男子善女人 發阿?多羅三?三菩

당위여설 선남자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

提心 應如是住 如是降伏其心 唯然 世尊 願樂 欲聞

리심 응여시주 여시항복기심 유연 세존 원요 욕문

 

선현기청분 제 2 (선현이 일어나 법을 청하다)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웃옷을 벗어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붙여 합장 하고 공경히 부처님께 아뢰오니

「희유하신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호념 하시며

모든 보살들을 잘 부촉 하시옵니다. 세존 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켰으면

응당 어떻게 머물며 어떻게 그마음을 항복 받아야 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이르시되

「갸륵하고 갸륵하도다 수보리야 네가 말한 바와 같이

여래가 모든 보살들을 잘 호념하며 모든 보살들을 잘 부촉 하느니라.

너는 이제 자세히 들어라, 마땅히 너를 위해서 설 하리라.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켰으면

응당 이같이 머물며 이같이 그마음을 항복받을진져」

예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바라건데 즐거이 듣고자 하옵니다 

 

해설 : 선현기청분은 수보리가 설법을 청하는 주제로서 우리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즉 무상정등각심이 일어났을 때 그 마음을  어떻게 다스려 항복시켜 피안에 이를 것인가에 대하여 불타에게 질문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장로“는 덕행이 높고 나이가 많은 출가 수행자를 통칭하는 말이다. 

 “수보리”는 불타의10대제자중의 한 사람이며 선길, 선현 등으로 의역한다. 보통 만다라 그림 속에서 부처님의 좌방 상렬 중, 대목건련과 대가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사위국의 바라문의 자제로써 기원정사의 준공식에서 부처님의 설법에 감화되어 출가하게 된다. 수보리는 기원정사를  기증한 대부호 수달(급고독원장자)의 동생인 스마나의 아들 즉 수달의 조카이며 “무쟁제일”, “공양제일“, ”색상제일“, ”해공제일“등으로 불리워지는 당대 최고의 엘리트였었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것은 오른쪽은 길한 손이고 왼쪽은 불길한 손이므로 가사로 왼손을 가리는 것을 말하며 국왕이나 존경하는 스승에게 맴 몸을 드러내 보인다는 것은 자기를 낮춤으로서 상대방에게 존경을 표시하는 것이다. 자기를 비우는 것, “겸손”과 “비움”과 자연으로 회귀“인 것이다.  

 

희유하다는 것은 “참으로 드물게 있는 세상의 존귀한 분이시여!“라는 의미이며 호칭을 부를 때는 ”세존“이라는 말을 쓰고 문장에 쓰여질 때는 ”여래“를 사용한다. 

 “여래”는 여래십호중의 하나이며 여여 즉 진리의 자리로부터 이 세계를 구원하기 위하여 왔다는 뜻이다. 

 “선”은 “잘“이라는 뜻으로 선, 악의 개념이 아니라 잘 돌아가면 선이고 잘 안 돌아가면 악일뿐이다. 

 “호념 제보살”, “부촉 제보살“에서 처음으로 보살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된다. 호념이란 잘 보호하고 잘 생각해 주신다는 뜻이고 부촉이란 잘 부탁한다는 뜻으로 ”지금 부처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호해 주시고 잘 격려해 주시고 계십니다.“라는 의미이다. 수보리가 최초로 부처님에게 던진 이 말은 대승보살운동에 대한 부처님의 보호, 지지. 격려의 확실한 약속의 인증인 것이다. 

 선남자 선여인을 대표한 수보리가 “보살은 과연 무엇인가?”하는 이보살의 의미 규정의 핵심을 부처님으로부터 직접 듣고 싶어서 던진 질문이다. 

 “부처님! 우리는 보살운동을 막 시작했습니다. 부처님께서도 우리의 운동을 지지해주고 계십니다. 그러나 막상 보살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부처님! 무엇이보살입니까?”(지혜 없이 자비를 행할 수 없는 것)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금강경]의 본문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수보리가 다시불타에게 질문을 시작한다. 이 질문은 [금강경]에서의 문제 제기의 첫 단계로서 마음을 다스려 항복시키는 방법을 묻는 것이다. 무상정등각을 향하여 발심한 선남자, 선여인에게 그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제시해 달라는 것이다. 마땅히 어떻게 그 마음을 간직하여 살면서, 어떠한 수행으로,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킬 것인가를 묻는 것이다.   

 “선남자 선여인”은 보리심을 발한 모든 중생 즉 숙세의 인연이 있어 정법을 만난 모든 사람들을 가리킨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풀이하면 “아뇩다라”는 보다 높은 것이 없는 무상(無上)의 의미이며 “샴먁”은 “같이 간다“ , ”정변“, ”정등“의의미리고 ”삼보리“는 ”깨달음“, ”바른 깨달음“의 합성어이다. 즉 ”무상정등각“인 것이다. 위없이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이며 최고의 진리를 말한다.

 “마음을 항복 받는다”는 우리 마음속의 중생심을 조복 받는 일 (마음을 잘 통제하는 것)이다. 중생심이 조복되면 자연히 불심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마음에는 아뇩가라삼먁삼보리심 즉 불심(佛心)이 있고 항복시켜야 할 항복기심이 있다. 같은 마음이지만 의미는 하늘과 땅의 차이만큼 크다. 불심은 본성으로서 우리가 궁극적으로 도달하여야 할 반야지혜의 자리이며, 열반의 자리이다. 그러나 항복시켜야 할 마음은 차별심을 자아내고 아집을 일으키는 번뇌와 망념과 망심인 것이다.

 

“너희들은 자세히 들어라!”라는 말로서 여기서 “너”는 외면적으로는 수보리존자를 가르키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뭇 보살들과 선남자 선여인의 피 끓는 젊은 생령들을 가르키는 말이다. 

 “반드시 내 너를 위하여 이르리라”라는 말로써 반야와 비 반야의 갈림길이며 그 결정적 순간의 선포인 것이다. 

 “이와 같이 살 것이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리라.” 여기에는 부처님의 신중함 , 즉 주저가 들어 있다. 이것은 엄중한 사태에 대한 부처님의 경고이다. 이 경고는 마음을 준비할 시간을 허락한다. 부처님은 수보리의 질문에 바로 대답하지 않고 단순히 질문을 반복해서 대답했을 뿐이다. 그런데도 대답이 이루어진 것이다. 부처님은 어떻게를 (이와 같이)로 바꾼 것이다. 이미 해답은 “이와 같이” 한마디로 끝나 버린 것이다. 우리는 이 “이와 같이”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는 배길 수가 없다. 부처님! 제발 이와 같이 그 이와 같이를 더 설명해 주십시오.  

 

“예!”라는 대답이다. 이 대답은 부처님의 선포에 대한 보살들의 긍정 즉 “이와 같이”란 내용이 설파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받아들이겠다는 마음의“열음”이다.

 

 

 

 

Section III. The real teaching of the great way (大乘正宗分 第三   대승정종분 제삼)

 

  

Buddha said: subhuti,all the bodhisattva-heroes should discipline their thoughts as

follows: All living creatures of whatever class,born from eggs,from wombs,from moisture,

or by transformation,whether with form or without form,whether in a state of thinking or exempt

from thought-necessity,or wholly beyond all thought realms-all these are caused by me to attain

unbounded liberation nirvana. yet when vast,uncountable,immeasurable numbers of beings

have thus been liberated,verily no being has been liberated. Why is this, Subhuti? it is because no

bodhisattva who is a real bodhisattva cherishes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 a being,

or a separated individuality.

 

  大乘正宗分 第三   대승정종분 제삼 

 

佛告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불고 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항복기심 

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

소유일체중생지류 약란생 약태생 약습생 약

化生 若有色 若无色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 

화생 약유색 약무색 약유상 약무상 약비유

想非无想 我皆令入 無餘涅槃 而滅度之 如是 

상비무상 아개영입 무여열반 이멸도지 여시 

滅度 無量無數無邊衆生 實無衆生 得滅度者 

멸도 무량무수무변중생 실무중생 득멸도자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人相衆生相壽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인상중생상수 

者相 卽非菩薩

자상 즉비보살 

 

대승정종분 제3 (대승의 바른 종지)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같이 그마음을 항복받을 것이니

온갖중생의 부류에  혹은 알에서 나는 것,혹은 태(胎)에서 나는 것,혹은 습한곳에서 나는 것

혹은 화(化)하여 나는 것, 혹은 습한곳에서 나는 것,혹은 빛갈이 있는 것, 혹은 빛갈이 없는 것,

혹은 생각이 있는 것,혹은 생각이 없는 것, 혹은 생각이 있는것도 아니요  생각이 없는것도 아닌것 것 등을

내가 모두 무여열반에 들게 하여 이들을 제도할 것」이다

이같이 한량없고 헤아릴수 없고 끝이 없는 중생들을 제도했으나 실제로는 제도받은 중생이 없다.

왜냐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다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 이니라.

 

해설 : 제3 정종분은 대승의 바른 종지라는 이름으로 [금강경]의 근본사상을 맨 처음 밝히는 것으로서, 불타께서 마음을 다스려 항복시키는 방법과 보살의 마음가짐 그리고 수행의 삶을 제시하는 부분이다. 

“정종”이란 “바르고 으뜸 됨”이다. 바로 이 제3 정종분 이야말로 가장 바르고 으뜸 되는 대승의 종지를 밝히는 장이라는 뜻이다. [금강경]은 제3분에서 정점을 형성한다. [금강경]의 모든 것이 여기서 쏟아져 나온다. 제분 이후의 문장은 제3분의 내용을 펼친 것이 불과하다. “이와 같이 ”의 내용이 이제 2절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소유일체중생‘ ’존재하는 모든 중생“인데 중생이란 좁은 의미로는 인간을 가르키지만 윤회의 범의를 생각할 때 ‘살아 있는 모든 것’이며 ‘생물’에 해당한다. (우리말의 ‘짐승’이 ‘중생’에서 전화(轉化)된 것이다.) ‘중생은 불성을 지니는 것이며 성불의 가능성을 지닌 존재’를 말한다.

“열반(涅槃)”에는 유여열반(有餘涅槃)과 무여열반(無餘涅槃)이 있다. 유여열반은 열반에 들긴 했는데 윤회를 계속하게 만드는 오온의 집착이 남아 있는 열반을 말하며 장작의 불이 꺼지긴 했는데 장작이 숯이 되어 남아 잇는 것, 즉 몸이 아직 남아 있다는 것을 말한다. 무여열반 은 장작의 불이 꺼지고 숯도 남지 않고, 재조차 없는 완전한 꺼짐을 말하며, 이것은 죽음이다. 존재에 있어서 완전한 열반은 죽음에 없다.

 

바로 여기까지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을 지어다”의 “이와 같이”의 내용을 부연 설명한 것이다. 즉 보살의 마음가짐을 내용을 설한 것이다. 바로 이 3절의 내용이야말로 대승정신의 출발이며 바로 [금강경]이 [벼락경] 이 될 수밖에 없는 전율의 출발인 것이다. 벼락같이 내려친 대승의 종지인 것이다.

 지금까지 불타가 설법하신 [금강경]의 논리는 우리들 중생계의 대화와 다름이 없었다. 차별의 현상계에 살고 있는 우리 중생들은 지금까지의 대화와 다름이 없었다. 차별의 현상계에 살고 있는 우리 중생들은 지금까지의 대화에 하나도 거부감이 없었다. 그러나 이 제3 대승정종분의 내용에 와서는 우리의 생각과 논리를 뛰어 넘고 있다. 그것이 바로 [금강경]의 근본사상이다. 금강경이 “헤아릴 수 없고, 셀 수 없고, 가없는 중생을 제도 하였다. 하더라도 한중생도 제도된 바 없다”고 설하는 것은 본래 제도된 중생은 부처와 평등하여 둘이 아니고 진여일상(眞如一相)이 되었기 때문이다. 너와 나의 구별이 없게 되고, 그래서 피(彼)와 차(此)를 생각할 수 없게 된 경지에서는 실로 한 중생도 제도한 바도 없고 또한 한 중생도 제도된 바가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헤아릴 수 없고 셀 수 없는 중생을 제도하였다”고  한 것은 우리들 차별세계의 중생들을 실제로 무수히 제도하였다는 의미이고, “한 중생도 제도한 바가 없다”는 구절은 제도한 나와 제도된 네가 없어진 평등무차별의 본체계의 경지에서 설하는 것이다. 불타의 경계에서 보면 일체중생도 모두가 제도되어 평등하고 차별 없는 동체(同體)가 되었기 때문에 누가 누구를 제도했다는 경계는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 그러한 생각을 갖는다면 그것은 아직도 망념의 세계에 살고 있는  것이 된다.

 과연 부처님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 함인가? 해탈이라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남을 의미한다. 그런데 윤회로부터의 해탈이 어느 특정한 수도인 (아라한)들의 전유물이 되어 버리고 중생들은 오직 해탈의 가능성이 없는 윤회의 굴레를 굴리고 있는 현실을 안타까이 여겨 부처님 자신의 깨달음 즉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핵심인 삼법인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다. 삼법인 중의 정종법인(正宗法印)인 “제법무아(諸法無我)”를 설파하고 있는 것이다.

 

이절에서 종종분은 피크를 이룬다. 이 사상의 부정은 곧 부처님의 일법인(一法印)이라 할 수 있는 “제법무아(諸法無我)”론으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살에게는 어떠한 경우라도 “아(我)”라고 하는 실체가 있어서는 아니 된다. 보살됨의 규정은 곧 무아의 실천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살이 중생의 제도했다는 생각을 갖게 되면 그 보살은 아상과 인상, 그리고  중생상과 수자상이라는 망념이 제거되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바로 보살이아니라고 설하는 것이다.

 [금강경]은 망념의 실체를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등 네 가지 상(相)으로 보고 있다. 이 네 가지 상을 깨부수어 극복하지 못하면 그들은 보살이 되지 못하고 바로 범부에 머물러 있게 되기 때문이다. 아상(我相)은 나라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이고, 인상(人相)은 남이라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이다. 중생상(衆生相)은 중생살이로서의 본능적 집착이 수반되는 것을 말하고, 수자상(壽者相)은 오래 살겠다는 생각에 집착하는 모습을 말한다.

 이 사상을 존재의 외연의 확대로 해석해 보면 아상은 나라는  생각이고, 인상이란 남이라는 생각, 그리고 중생상은 세상을 괴롭게 살아가는 사람, 수자상은 오래 살고자 하는 집착을 가지는 것, 시간의 존속을 가지는 모든 존재로 확대되어 나간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또한 달리 아와 인을 한 쌍으로 보고, 중생과 수자를 한 쌍으로 보는 것이다. 아(我)는 나요, 인(人)은 타(他)다. 내가있다는 생각, 타인이 있다는 생각, 이것은 바로 실체적 사고의 전형이다. 즉 부처님에게 제도하는 나가있고 제도당하는 타(他)가 있다면 부처님은 곧 자신의 가르침을 위배한 것이다. 또 중생이란 짐승 같은 삶을 영위하는 뭇 인간들이며 거기에 대비되어 수명과 복락을 가진 고귀한 존재로 인식하는 수자가 한 쌍으로 나타난다.

 상(相)은 곧 “상(想)”이다. 그것은 실재가 아니고 생각인 것이다. 아가 있고 인이 있고 중생이 있고 수자가 있다는  생각 그 모습이 있는 한 우리는 영원히 보살이 될 수 없는 것이다. 

black silk`s Note

Diamond sutra 에서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을

ego-entity,a personality, a being, or a separated individuality.로 표기하고 있다
번역하면 자아, 성격, 존재, 분리 된 개성. 인 것을 보면 개인의 모습을 객관화하는 것이라는  black silk 생각.

 

 

 

 

Section IV. Even the most beneficent practices are relative ( 妙行無住分 第四   묘행무주분 제사)

 

  

Furthermore, Subhuti, in the practice of charity a bodhisattva should be detached.

That is to say,he should practise charity without regard to appearances; without regard to

sound, odour, touch, flavour or any quality. subhuti,

thus should the bodhisattva practise charity without attachment. Wherefore?

in such a case his merit is incalculable.

Subhuti,what do you think? can you measure all the space extending eastward?

No,world-honoured one,i cannot. Then can you, Subhuti, measure all the space extending

southward,westward,northward, or in any other direction, including nadir and zenith?

No, world-honoured one, I cannot.

Well, Subhuti, equally incalculable is the merit of the bodhisattva who practises

charity without any attachment to appearances. subhuti, bodhisattvas should persevere

one-pointedly in this instruction.

 

      妙行無住分 第四   묘행무주분 제사 

 

復次 須菩提 菩薩 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부차 수보리 보살 어법 응무소주 행어보시

所謂 不住色 布施 不住聲香味觸法 布施 須

소위 부주색 보시 부주성향미촉법 보시 수

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

보리 보살 응여시보시 부주어상 하이고 약

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須菩提

보살 부주상보시 기복덕 불가사량 수보리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不也 世尊 須

어의운하 동방허공 가사량부 불야 세존 수

菩提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 可思量不 不也

보리 남서북방사유상하허공 가사량부 불야

世尊 須菩提 菩薩 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세존 수보리 보살 무주상보시복덕 역부여시

不可思量 須菩提 菩薩 但應如所敎住

불가사량 수보리 보살 단응여소교주
 

 

묘행무주분 제4 (머무름없는 묘행)

 

「또 수보리야 ,보살은 법에 대하여 응당 머무는바 없이 보시를 행할것이니 이른바 색에  머물음이 없이 보시 할것이며

성.향.미.촉.법.에 머물음이 없이 보시할 것 이다.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같이 보시하여 형상에 머물지 말것이다.

왜냐하면 만일 보살이 형상에 머물음이 없이 보시하면 그복덕은 생각하여 헤아릴수 없을 것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느냐 동방의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리겠는가

없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서북방과 사유(서북,서남,동북,동남의 4방위) 와 위 아래의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리겠는가

없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형상에 머물음이 없이 보시하는 복덕도 또한 이와 같아서 생각하여 헤아릴수 없는것이다.

수보리야 보살은 단지 응당 가르친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Section v. Understanding the ultimate principle of reality (如理實見分 第五   여리실견분 제오) 

 

 

Subhuti, what do you think? Is the tathagata to be recognized by some material

characteristic? No, world-honoured one; the tathagata cannot be recognized by

any material characteristic. wherefore? because the tathagata has said

that material characteristics are not,in fact,material characteristics.

Buddha said: Subhuti, wheresoever ar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re is delusion;

but who so perceives that all characteristics are in fact no-characteristics,perceives

the tathagata.

 

如理實見分 第五  (여리실견분 제오)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 見如來不 不也

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신상 견여래부 불야

世尊 不可以身相 得見如來 何以故 如來 所

세존 불가이신상 득견여래 하이고 여래 소

說身相 卽非身相 佛告須菩提

설신상 즉비신상 불고수보리 

凡所有相 皆是虛妄

범소유상 개시허망 

若見諸相非相 

약견제상비상

則見如來

즉견여래  

 

여리실견분 제 5 (참진리를 보라)

 

 “수보리야.어떠한가?몸의모양 으로 여래를 볼수 있겠는가?”
“아닙니다.세존이여.몸의모양 으로는 여래를 뵐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바 몸의 모양이라 말씀 하신것은  곧 몸의 모양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이르시길,
“존재하는  모든모양이 모두다  허망한것이니.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줄을   보게되면
곧 여래를  보리라.” 

 

 

☞ 금강경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Section VI. Rare is true faith (淨信希有分 第六  정신희유분 제육 )

 

  

Subhuti said to Buddha: World-honoured one, will there always be men who will

truly believe after coming to hear these teachings?

Buddha answered: Subhuti,do not utter such words! At the end of the last five-hundred-year

period following the passing of the tathagata,there will be self-controlled men,rooted in merit,

coming to hear these teachings,who will be inspired with belief. But you should realize that such

men have not strenghtened their root of merit under just one buddha, or two buddhas,or three,

or four,or five buddhas,but under countless buddhas; and their merit is of every kind. such men,

coming to hear these teachings,will have an immediate uprising of pure faith, Subhuti; and the

tathagata will recognize them. yes, he will clearly perceive all these of pure heart,and the

magnitude of their moral excellences. Wherefore? it is because such men will not fall back to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a being, or a separated individuality.

they will neither fall back to cherishing the idea of things as having intrinsic qualities, nor even

of things as devoid of intrinsic qualities.

Wherefore? because if su men allowed their minds to grasp and hold on to anything they

would be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and if they grasped and held on to the notion of things as having intrinsic qualities they would be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 a being, or a separated individuality. likewise,

if they grasped and held on to the notion of things as devoid of intrinsic qualities they would be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 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so you should not be attached

to things as being possessed of,or devoid of,intrinsic qualities.

This is the reason why the tathagata always teaches this saying: my teaching of the good law is to be

likened unto a raft. the buddha-teaching must be relinquished; how much more so misteaching!

 

           淨信希有分 第六

           정신희유분 제육

 

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言

수보리 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득문여시언

說章句 生實信不 佛告 須菩提 莫作是說 如

설장구 생실신부 불고 수보리 막작시설 여

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章句 能

래멸후 후오백세 유지계수복자 어차장구 능

生信心 以此爲實 當知是人 不於一佛二佛三

생신심 이차위실 당지시인 불어일불이불삼

四五佛 而種善根 已於無量千万佛所 種諸善

사오불 이종선근 이어무량천만불소 종제선

根 聞是章句 乃至一念 生淨信者 須菩提 如

근 문시장구 내지일념 생정신자 수보리 여

來 悉知悉見 是諸衆生 得如是無量福德 何

래 실지실견 시제중생 득여시무량복덕 하

以故 是諸衆生 無復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

이고 시제중생 무부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無法相 亦无非法相 何以故 是諸衆生 若心

무법상 역무비법상 하이고 시제중생 약심

取相 則爲著我人衆生壽者 若取法相 卽著我

취상 즉위착아인중생수자 약취법상 즉착아

人衆生壽者 何以故 若取非法相 卽著我人衆

인중생수자 하이고 약취비법상 즉착아인중

生壽者 是故 不應取法 不應取非法 以是義故

생수자 시고 불응취법 불응취비법 이시의고

如來常說 汝等比丘 知我說法 如筏喩者 法尙

여래상설 여등비구 지아설법 여벌유자 법상

應捨 何況非法

응사 하황비법

 

정신희유분 제6 (말세의 바른 신심 희유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오되

「세존이시여 자못 중생으로 이같은 말씀과 글귀를 듣고서 참다운 믿음을 낼수 있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부처님께 이르오되

「이런 말을 하지마라. 여래가 멸도한 뒤 후500년에도 계를 지키고 복을 닦는 자가   이글귀에서 능히 믿는 마음을 내어

이것을 실답게 여길것이다.

마땅히 알라 이사람은 한 부처님 두부처님이나 셋.넷. 다섯 부처님에게만 선근을 심는것이 아니라 이미 무량한 천만의 부처님 처소에

온갖 선근을 심었기에 이글귀를 듣고서 드디어 한생각에 깨끗한 믿음을 내게 되는 것이다 .

수보리야 , 여래가 다 알고 다 보는 것이니 이 모든 중생들이 이같이 한량 없는 복덕을 받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모든 중생들은 또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으며 법상도 없고 또한 비법상도 없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모든 중생들이 만일 마음에 모양을 취한다면 바로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만일 법상을 취하더라도 바로 아상. 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하며

만일 비법상을 취하더라도 아상. 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응당 법을 취하지도 말 것이며 응당 비법을 취하지도 말 것이다.

그런 뜻이기에 여래가 항상 이르시되,

「너희 비구들은 내가 설한 법을 뗏목에다 비유함과 같은 줄을 안다면

법도 오히려 버려야 하겠거늘 하물며 비법이겠는가」하셨다.

 

 

 

 

 

Section VII. Great ones, Perfect Beyond Learning, Utter no Words of Teaching

 

  

Subhuti,what do you think? Has the Tathagata attained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Has the Tathagata a teaching to enunciate?

Subhuti answered: As I understand Buddha's meaning there is no formulation of

truth called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Moreover,the Tathagata

has no formulated teaching to enunciate. Wherefore? Because the Tathagata

has said that truth is uncontainable and inexpressible. It neither is nor is it not.

Thus it is that this unformulated Principle is the foundation of the different systems

of all the sages.

 

         無得無說分 第七

         무득무설분 제칠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得阿?多羅三?三菩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득아뇩다라삼먁삼보提耶 如來 有所說法耶 須菩提言 如我解佛所리야 여래 유소설법야 수보리언 여아해불소說義 無有定法 名阿?多羅三?三菩提  亦无설의 무유정법 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 역무有定法 如來可說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유정법 여래가설 하이고 여래소설법 개불가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所以者何 一切賢聖취 불가설 비법 비비법 소이자하 일체현성皆以無爲法 而有差別개이무위법 이유차별  

 

 

 무득무설분 제7   (얻를것도 설할것 없다) 

 

「수보리야,네생각은 어떠느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여기느냐, 여래가 설법한바가  있다고 여기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제가 부처님께서 설하신뜻을 알기로는 정해진 법이 없는것을 아뇩다라사먁삼보리라 부르며 또한

정해진 법이 없는것을 여래께서 설해 주셨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법은 모두다 취할수도 없고 설 할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비법도 아니기 때문 입니다.

어째서 그러냐 하면 일체의 현인과 성인이 모두 무위법(無爲法: 생멸변화가 없는 참된법)으로 차별을 두기 때문 입니다

 

 

 

 

 

Section . The Fruits of Meritorious Action  (依法出生分 第八  의법 출생분 제8)

  

 

Subhuti,what do you think? If anyone filled three thousand galaxies of worlds

with the seven treasures and gave all away in gifts of alms,would he gain great merit?

Subhuti said: Great indeed, World-honoured one! Wherefore? Because merit

partakes of the character of no-merit,the Tathagata characterized the merit as great.

Then Buddha said: on the other hand,if anyone received and retained even only

four lines of this Discourse and taught and explained them to others,his merit would

be the greater. Wherefore? Because,Subhuti,from this Discourse issue forth all the

Buddhas and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teachings of all the Buddhas.

Subhuti,what is called "the Religion given by Buddha" is not, in fact, Buddha-Religion.

 

       依法出生分 第八

      의법출생분 제팔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 滿三千大千世界 七寶

수보리 어의운하 약인 만삼천대천세계 칠보

以用布施 是人 所得福德 寧爲多不 須菩提言

이용보시 시인 소득복덕 영위다부 수보리언

甚多 世尊 何以故 是福德 卽非福德性 是故

심다 세존 하이고 시복덕 즉비복덕성 시고

如來說 福德多 若復有人 於此經中 受持乃至

여래설 복덕다 약부유인 어차경중 수지내지

四句偈等 爲他人說 其福 勝彼 何以故 須菩

사구게등 위타인설 기복 승피 하이고 수보

提 一切諸佛 及諸佛 阿?多羅三?三菩提法

리 일체제불 급제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

皆從此經出 須菩提 所謂佛法者 卽非佛法

개종차경출 수보리 소위불법자 즉비불법

 

의법출생분 제8 (모든것은 진리로 부터 나온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느냐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로서 보시에 썼다면

그 사람이  받을 복덕이 많다고 하겠느냐」

수보리 아뢰오되

"매우 많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이 복덕은 곧 복덕의 본바탕이 아니기때문에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고 설 하신 것입니다"

「만일 또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에서 혹은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설해준다면

그 복은 저 칠보를 보시한것 보다 더 나을것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일체의 부처님과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이 모두 이 경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이른바 불법이라 함은 곧 불법이 아닌 것이다」

 

 

 

 

 

Section . Real Designation is Undesignate

 

  

Subhuti,what do you think? Does a disciple who has entered the Stream of the Holy Life

say within himself:

Subhuti said : No,World-honoured one. Wherefore? Because "stream-entrant" is merely

a name. There is no stream-entering. The disciple who pays no regard to form, sound, odour,

taste, touch, or any quality, is called a Stream-entrant.

Subhuti,what do you think? Does an adept who is subject to only one more rebirth say within

himself: I obtain the fruit of a once-to-be-reborn?

Subhuti said: No,World-honoured one.Wherefore? Because once-to-be-reborn" is merely

a name. There is no passing away nor coming into existence. [The adept who realizes

-this is called once-to-be-reborn."

Subhuti,what do you think? Does a venerable one who will never more be reborn as a mortal

say within himself: I obtain the fruit of a Non-returner?

 

 

Subhuti said: No,World-honoured one. Wherefore? Because "Non-returner" is merely a name.

There is no non-returning; hence the designation "Non-returner."

Subhuti,what do you think? Does a holy one say within himself: I have obtained Perfective

Enlightenment?

Subhuti said: No,World-honoured one.Wherefore? Because there is no such condition as that

called "Perfective Enlightenment" World-honoured one,if a holy one of Perfective Enlightenment

said to himself "such am I," he would necessarily partake of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

a being, or a separated individuality. World-honoured one, when the Buddha declares that I excel

amongst holy men in the Yoga of perfect quiescence, in dwelling in seclusion, and in freedom from

passions,I do not say within myself: I am a holy one of Perfective Enlightenment,free from passions.

World-honoured one, if I said within myself: Such am I; you would not declare: Subhuti finds

happiness abiding in peace,in seclusion in the midst of the forest. This is because Subhuti abides

no where: therefore he is called,

"Subhuti, Joyful-Abider-in-Peace, Dweller-in-Seclusion-in-the-Forest."

 

      一相無相分 第九

      일상무상분 제구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 須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 수

陀洹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

다원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수다

洹 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

원 명위입류 이무소입 불입색성향미촉법 시

名須陀洹 須菩提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명수다원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我得 斯陀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

아득 사다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

故 斯陀含 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고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

須菩提 於意云何 阿那含 能作是念 我得 阿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아득 아

那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阿那

나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아나

含 名爲不來 而實无(不)來 是故 名阿那含

함 명위불래 이실무(불)래 시고 명아나함

須菩提 於意云何 阿羅漢 能作是念 我得阿羅

수보리 어의운하 아라한 능작시념 아득아라

漢道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實無有

한도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실무유

法 名阿羅漢 世尊 若阿羅漢 作是念 我得阿

법 명아라한 세존 약아라한 작시념 아득아

羅漢道 卽爲著我人衆生壽者 世尊 佛說 我得

라한도 즉위착아인중생수자 세존 불설 아득

無諍三昧 人中最爲第一 是第一離欲阿羅漢

무쟁삼매 인중최위제일 시제일이욕아라한

(世尊) 我不作是念 我是離欲阿羅漢 世尊 我

(세존) 아부작시념 아시이욕아라한 세존 아

若作是念 我得阿羅漢道 世尊 則不說須菩提

약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세존 즉불설수보리

是樂阿蘭那行者 以須菩提 實無所行 而名須

시요아란나행자 이수보리 실무소행 이명수

菩提 是樂阿蘭那行

보리 시요아란나행

 

   

일상무상분 제9 (절대의 법은 존재가 아니다)

 

「수보리야 네생각에는 어떠느냐 수다원이 생각하기를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다"  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이름하여 입류(入流)라고 하나 실은 들어간 바가 없으니

색성향미촉법에 들지 않았기에 이름을 수다원이라 한 것입니다."

「수보리야  네생각에는 어떠느냐 사다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사다함은 일왕래(一往來)라 부르나 실은 오고감이 없기에 이름을 사다함이라 한 것입니다"「수보리야 네생각에는 어떠느냐 아나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아나함은 이름을 불래(不來)라 하나 실은 오지 오지 아니함이 없기에 아나함이라 부른 것입니다"

「수보리야 네생각에는 어떠느냐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실은 법이 없는 것을 아라한이라 부른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아라한이 생각 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 고 한다면 바로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집착되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무쟁삼매(無諍三昧)를 얻은 사람 중에서 가장으뜸이라 말씀하신 것은  

이는 첫째로 욕심을 여윈 아라한 이라는 것인데 세존이시여 저는 제가 욕심을 여윈 아라한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제가 혹 생각하기를 "제가 아라한도를 얻었다"고 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에게 아란나행을 좋아하는자라고 말씀하지 않았을 것입니다만

수보리가 실은 행하는 바가 없기에 수보리가 아란나행을 좋아한다 고 이름한 것입니다. 

 

 

 

 

 

Section . Setting Forth Pure Lands

 

  

Buddha said: Subhuti,what do you think? In the remote past when the Tathagatg

was with Dipankara Buddha, did he have any degree of attainment in the Good Law?

No,World-honoured one. When the Tathagata was with Dipankara Buddha

he had no degree of attainment in the Good Law.

Subhuti,what do you think? Does a Bodhisattva set forth any majestic Buddha-lands?

No,World-honoured one. Wherefore? Because setting forth majestic Buddha-lands

is not a majestic setting forth;this is merely name.

Then Buddha continued:Therefore, Subhuti, all Bodhisattvas,lesser and great,

should develop a pure,lucid mind,not depending upon sound, flavour, touch, odour or

any quality. A Bodhisattva should develop a mind which alights upon no thing whatsoever;

and so should he establish it.

 

Subhuti,this may be likened to a human frame as large as the mighty Mount Sumeru.

What do you think? Would such a body be great?

Subhuti replied: Great indeed,World-honoured one. This is because Buddha has

explained that no body is called a great body.

 

       莊嚴淨土分 第十

       장엄정토분 제십

 

佛告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昔在然燈佛所

불고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석재연등불소

於法 有所得不 (不也) 世尊 如來 在然燈佛所

어법 유소득부(불야) 세존 여래 재연등불소

於法 實无所得 須菩提 於意云何 菩薩 莊嚴

어법 실무소득 수보리 어의운하 보살 장엄

佛土不 不也 世尊 何以故 莊嚴佛土者 則非

불토부 불야 세존 하이고 장엄불토자 즉비

莊嚴 是名莊嚴 是故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장엄 시명장엄 시고 수보리 제보살마하살

應如是生淸淨心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

응여시생청정심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

觸法生心 應无所住 而生其心 須菩提 譬如有

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수보리 비여유

人 身如須?山王 於意云何 是身 爲大不 須

인 신여수미산왕 어의운하 시신 위대부 수

菩提言 甚大 世尊 何以故 佛說非身 是名大身

보리언 심대 세존 하이고 불설비신 시명대신

 

장엄정토분 제 10 (정토를 장엄 하다)

 

부처님이 이르시길,
“수보리야.어떠한가?부처님이 옛날옛적
연등불을 만났을적 얻은법이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여.여래께서 연등불을 만났을적
실제로는 얻은법이 없습니다.”
“수보리야.어떠한가?보살들이 불토장엄
하겠느냐?”
“아닙니다.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불국토장엄 이라함은 곧장엄이
아님이요 이이름을 장엄이라 하기 때문 입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야,모든보살 마하살이
이와같이 청정한 마음을  내야 할것이니 

색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것이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것이니

응당 머무는 데가 없이 그마음을 낼것이다." 

수보리야.비유컨대 어떤사람 몸의크기
수미산왕 만큼크면 그대뜻에 어떠한가?
이러한몸을 크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하기를,
“매우매우 크옵니다.세존이여.왜냐하면
부처님이 설하시길 몸아님을 말씀 하시어

이것을 큰몸이라 이름하신 것 입니다.” 

 

☞ 금강경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Section XI. The superiority of Unformulated Truth   

  

Subhuti,if there were as many Ganges rivers as the sand-grains of the Ganges,

would the sand-grains of them all be many?

Subhuti said: Many indeed, World-honoured one! Even the Ganges rivers would

be innumerable; how much more so would be their sand-grains?

Subhuti,I will declare a truth to you. If a good man or good woman filled three

thousand galaxies of worlds with the seven treasures for each sand-grain in all those

Ganges rivers, and gave all away in gifts of alms,would he gain great merit?

Subhuti answered: Great indeed, World-honoured one!

Then Buddha declared: Nevertheless, Subhuti, If a good man or good woman studies

this Discourse only so far as to receive and retain four lines, and teaches and explains

them to others, the consequent merit would be far greater.

 

         無爲福勝分 第十一

         무위복승분 제십일

 

須菩提 如恒河中 所有沙數 如是沙等恒河

수보리 여항하중 소유사수 여시사등항하

於意云何 是諸恒河沙 寧爲多不 須菩提言 甚

어의운하 시제항하사 영위다부 수보리언 심

多 世尊 但諸恒河 尙多無數 何況其沙 須菩

다 세존 단제항하 상다무수 하황기사 수보

提 我今 實言 告汝 若有善男子善女人 以七

리 아금 실언 고여 약유선남자선여인 이칠

寶 滿?所恒河沙數 三千大千世界以用布施

보 만이소항하사수 삼천대천세계 이용보시

得福 多不 須菩提言 甚多 世尊 佛告 須菩提

득복 다부 수보리언 심다 세존 불고 수보리

若善男子善女人 於此經中 乃至 受持四句偈

약선남자선여인 어차경준 내지 수지사구게

等 爲他人說 而此福德 勝前 福德

등 위타인설 이차복덕 승전 복덕  

 

       무위복승분 제11  (절대한 큰복덕)

 

「수보리야 마치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의 수처럼 이모래와같은 항하라면 네 생각에는 어떠느냐 이 모든 항하의 모래가 많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여 단지 항하만도 오히려 많아서 헤아릴 수 없거든 하물며 그(항하) 모래 이겠습니까

「수보리야 내가 이제 진실한 말로 너에게 이르노니 만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저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로서 보시에 썼다면 그 받은 복이 많다 하겠는가」

수보리가 아뢰오되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이르오되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 가운데에서 사구게(四句偈)등 만이라도 받아 지니어 남을 위해 설해준다면 이복덕은

이전의 복덕보다 더 나으리라」

 

 

 

 

 

Section XII. Veneration of the True Doctrine

 

  

Furthermore, Subhuti, you should know that wheresoever this Discourse is proclaimed,

by even so little as four lines,that place should be venerated by the whole realms of Gods,

Men and Titans,as though it were a Buddha-shrine. How much more is this so in the case of

one who is able to receive and retain the whole and read and recite it throughout!

Subhuti, you should know that such

an one attains the highest and most wonderful truth. Wheresoever this sacred discourse may

be found there should you comport yourself as though in the presence of Buddha and disciples

worthy of honour.

 

     尊重正敎分 第十二 

     존중정교분 제십이

 

復次 須菩提 隨說是經 乃至四句偈等 當知

부차 수보리 수설시경 내지사구게등 당지

此處 一切世間天人阿修羅 皆應供養 如佛塔

차처 일체세간천인아수라 개응공양 여불탑

廟 何況有人 盡能受持讀誦 須菩提 當知是

묘 하황유인 진능수지독송 수보리 당지시

人 成就 最上第一希有之法 若是經典 所在之

인 성취 최상제일희유지법 약시경전 소재지

處 則爲有佛 若尊重弟子

처 즉위유불 약존중제자 

 

    존중정교분 제12  (바른 교법을 존경하라)

 

또 수보리야 어디서나 이 경을 설하매 혹은 사구게(四句偈)만 설하더라도 마땅히 알라  이곳은   일체 세간의 천상 인간 아수라가

다 응당 공양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같이 여기거든 하물며 어떤 사란이 다 받아 지니어 독송 함 이겠는가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사람은 가장 으뜸가는 희유한 법을 성취하게 될 것이니 이같은 경전이 있는 곳은

바로 부처님과 존중히 여기는 제자가 계시는 곳이 되리라

 

 

 

 

 

Section XIII. How this Teaching should be Received and Retained

 

  

At that time Subhuti addressed Buddha,saying. World-honoured one,by what name

should this Discourse be known,and how should we receive and retain it?

Buddha answered: Subhuti, this Discourse should be known as "The Diamond of

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 thus should you receive and retain it.

Subhuti,what is the reason herein? According to the Buddha-teaching 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is not really such.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is just

the name given to it. Subhuti,what do you think? Has the Tathagata a teaching to enunciate?

Subhuti replied to Buddha: World-honoured one,the Tathagata has nothing to teach.

subhuti, what do you think? Would there be many molecules in the composition of

three thousand galaxies of worlds?

Subhuti said: Many,indeed,World-honoured one!

Subhuti, the Tathagata declares that all these molecules are not really such;

they are called "molecules." [Furthermore,]the Tathagata declares that a world is not really

a world; it is called "a world."

Subhuti,what do you think? May the Tathagata be perceived by the thirty-two physical

peculiaritiesof an outstanding sageNo, World-honoured one, the Tathagata may not

be perceived by these thirty-two marks. Wherefore? Because the Tathagata has explained that

the thirty-two marks are not really such; they are called "the thirty-two marks."

Subhuti,if on the one hand a good man or a good woman sacrifices as many lives

as the sand-grains of the Ganges, and on the other hand anyone receives and retains

even only four lines of this Discourse,and teaches and explains them to others, the merit of

the latter will be the greater.

 

          如法受持分 第十三

          여법수지분 제십삼

 

?時 須菩提 白佛言 世尊 當何名此經 我等

이시 수보리 백불언 세존 당하명차경 아등

云何 奉持 佛告 須菩提 是經 名爲金剛般若

운하 봉지 불고 수보리 시경 명위금강반야

波羅蜜 以是 名字 汝當奉持 所以者何 須菩

바라밀 이시명자 여당봉지  소이자하 수보

提 佛說般若波羅蜜 則非般若波羅蜜 (是

리 불설반야바라밀 즉비반야바라밀 (시

名般若波羅蜜)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所

명반야바라밀)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유소

說法不 須菩提 白佛言 世尊 如來 無所說 須

설법부 수보리 백불언 세존 여래 무소설 수

菩提 於意云何 三千大千世界 所有微塵 是爲

보리 어의운하 삼천대천세계 소유미진 시위

多不 須菩提言 甚多 世尊 須菩提 諸微塵 如

다부 수보리언 심다 세존 수보리 제미진 여

來說 非微塵 是名微塵 如來說 世界 非世界

래설 비미진 시명미진 여래설 세계 비세계

是名世界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 見

시명세계 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삼십이상 견

如來不 不也 世尊 不可以三十二相 得見如來

여래부 불야 세존 불가이삼십이상 득견여래

何以故 如來說 三十二相 卽是非相 是名三十

하이고 여래설 삼십이상 즉시비상 시명삼십

二相 須菩提 若有善男子善女人 以恒河沙等

이상 수보리 약유선남자선여인 이항하사등

身命布施 若復有人 於此經中 乃至 受持四句

신명보시 약부유인 어차경중 내지 수지사구

偈等 爲他人說 其福甚多

게등 위타인설 기복심다

 

여법수지분 제 13  (법답게 받아 지니라)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오되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을 무엇이라 이름하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아 지니오리까」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이 경은  이름이【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 이름으로써 너희들은 마땅히 받들어 지니라.무엇대문이겠느냐 수보리야

여래가 반야바라밀 이라 설 한것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기에 이를 반야바라밀 이라 부르는 것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느냐 여래가 법을 설한 바가 있더냐」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설 하신 바가 없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느냐  삼천대천세계의 모든티끌을 많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모든 티끌은 여래가 티끌이 아니라고 설했기에 이를 티끌이라 부르며

여래가 설한 세계도 세계가 아니기에 이를 세계라 부르는 것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느냐  32상으로 여래를 볼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32상으로는 여래를 볼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한 32상은 바로 상(相)이 아니기에 이를 32상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수보리야 혹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와 같은 목숨으로 보시하더라도

만약 또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에서 혹은 4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어 남을 위해 설 해준다면

그 복이  더욱 많으리라.」

 

 

 

 

 

Section XIV. Perfect Peace Lies in Freedom from Characteristic Distinctions

  

 

Upon the occasion of hearing this Discourse Subhuti had an interior realization of its

meaning and was moved to tears. Where upon he addressed Buddha thus: It is a most

precious thing, World-honoured one,that you should deliver this supremely profound

Discours. Never have I heard such an exposition since of old my eye of wisdom first

opened. World-honoured one, if anyone listens to this Discourse in faith with a pure,

lucid mind, he will there upon conceive an idea of Fundamental Reality. We should know

that such an one establishes the most remarkable virtue. World-honoured one,

such an idea of Fundamental Reality is not,in fact,a distinctive idea; therefore the

Tathagata teaches: "Idea of Fundamental Reality" is merely a name. World-honoured

One, having listened to this Discourse, I receive and retain it with faith and

understanding. This is not difficult for me, but in ages to come-in the last five hundred years,

if there be men coming to hear this Discourse who receive and

retain it with faith and understanding,they will be persons of most remarkable achievement.

Wherefore? Because they will be free from the idea of an ego-entity,free from the idea of

a personality,free from the idea of a being,and free from the idea of a separated individuality.

And why? Because the distinguishing of an ego-entity is erroneous. Likewise the distinguishing

of a personality,or 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is erroneous. Consequently those who

have left behind every phenomenal distinction are called Buddhas all.

Buddha said to Subhuti: Just as you say! If anyone listens to this Discourse and is neither

filled with alarm nor dread,be it known that such an one is of remarkable achievement. Wherefore?

Because, Subhuti, the Tathagata teaches that the First Perfectionthe Perfection of Charityis not,

in fact, the First Perfection: such is merely a name.

Subhuti,the Tathagata teaches likewise that the perfection of Patience is not the perfection of

Patience: such is merely a name. Why so? It is shown thus, Subhuti: When the Rajah of Kalinga

mutilated my body, I was at that time free from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

a being,and a separated individuality. Wherefore? Because then when my limbs were cut away

piece by piece, had I been bound by the distinctions aforesaid, feelings of anger and hatred

would have been aroused within me. Subhuti, I remember that long ago, sometime during

my last past five hundred mortal lives, I was an ascetic practising patience. Even then was

I free from those distinctions of separated selfhood. Therefore,Subhuti,Bodhisattvas should

leave behind all phenomenal distinctions and awaken the thought of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by not allowing the mind to depend upon notions evoked

by the sensible world-by not allowing the mind to depend upon notions evoked by sounds,

odours, flavours, touch-contacts or any qualities. The mind should be kept independent of

any thoughts which arise within it. If the mind depends upon anything it has no sure haven. This is

why Buddha teaches that the mind of a Bodhisattva should not accept the appearances of things

as a basis when exercising charity. Subhuti, as Bodhisattvas practise charity for the welfare of all

living beings they should do it in this manner. Just as the Tathagata declares that characteristics

are not characteristics,so He declares that all living beings are not, in fact, living beings.

Subhuti,the Tathagata is He who declares that which is true; He who declares that which is

fundamental; He who declares that which is ultimate. He does not declare that which is deceitful,

nor that which is monstrous. Subhuti, that Truth to which the Tathagata has attained is neither real

nor unreal.

Subhuti,if a bodhisattva practises charity with mind attached to formal notions he is like unto

a man groping sightless in the gloom; but a Bodhisattva who practises charity with mind detached

from any formal notions is like unto a man with open eyes in the radiant glory of the morning,

to whom all kinds of objects are clearly visible.

Subhuti,if there be good men and good women in future ages, able to receive, read and recite

this Discourse in its entirety,the Tathagata will clearly perceive and recognize them by means of

His Buddha-knowledge; and each one of them will bring immeasurable and incalculable merit

to fruition.

 

      離相寂滅分 第十四

      이상적멸분 제십사 

?時 須菩提 聞說是經 深解義趣 涕淚悲泣

이시  수보리 문설시경 심해의취 체루비읍

而白佛言 希有 世尊 佛說如是甚深經典 我從

이백불언 희유 세존 불설여시심심경전 아종

昔來 所得 慧眼 未曾得聞 如是之經 世尊 若

석래 소득 혜안 미증득문 여시지경 세존 약

復有人 得聞是經 信心淸淨 則生實相 當知是

부유인 득문시경 신심청정 즉생실상 당지시

人 成就第一希有功德 世尊 是實相者 則是非

인 성취제일희유공덕 세존 시실상자 즉시비

相 是故 如來說名 實相 世尊 我今得聞 如是

상 시고 여래설명 실상 세존 아금득문 여시

經典 信解受持 不足爲難 若當來世 後 五百

경전 신해수지 부족위난 약당래세 후 오백

歲  其有衆生 得聞 是經 信解受持 是人 則

세  기유중생 득문 시경 신해수지 시인 즉

爲第一希有 何以故 此人 無我相(無)人相

위제일희유 하이고 차인 무아상(무)인상 

(無)衆生相(無)壽者相 所以者何 我相卽是非

(무)중생상(무)수자상 소이자하 아상즉시비

相 人相衆生相壽者相 卽是非相 何以故 離一

상 인상중생상수자상 즉시비상 하이고 이일

切諸相 則名諸佛 佛告須菩提 如是如是 若復

체제상 즉명제불 불고수보리 여시여시 약부

有人 得聞是經 不驚不怖不畏 當知是人 甚 

유인 득문시경 불경불포불외 당지시인 심

爲希有 何以故 須菩提 如來說 第一波羅蜜

위희유 하이고 수보리 여래설 제일바라밀

(卽) 非第一波羅蜜 是名第一波羅蜜 須菩提

(즉) 비제일바라밀 시명제일바라밀 수보리

忍辱波羅蜜 如來說 非忍辱波羅蜜 (是名 忍

인욕바라밀 여래설 비인욕바라밀 (시명 인

辱波羅蜜) 何以故 須菩提 如我昔爲歌利王

욕바라밀) 하이고 수보리 여아석위가리왕

割截身體 我於?時 無我相无人相无衆生相無

할절신체 아어이시 무아상무인상무중생상무

壽者相 何以故 我於往昔節節支解時 若有我

수자상 하이고 아어왕석절절지해시 약유아

相人相衆生相壽者相 應生瞋恨 須菩提 又念

상인상중생상수자상 응생진한 수보리 우념

過去於 五百世 作忍辱仙人 於?所世 無我相

과거어 오백세 작인욕선인 어이소세 무아상

无人相無衆生相无壽者相 是故 須菩提 菩薩

무인상무중생상무수자상 시고 수보리 보살

應離一切相 發阿?多羅三?三菩提心 不應

응리일체상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불응

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生無所住

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생무소주

心 若心有住 則爲非住 是故 佛說 菩薩 心

심 약심유주 즉위비주 시고 불설 보살 심

不應住色 布施 須菩提 菩薩 爲利益一切衆生

불응주색 보시 수보리 보살 위이익일체중생

應如是布施 如來說 一切諸相 卽是非相 又說

응여시보시 여래설 일체제상 즉시비상 우설

一切衆生 則非衆生 須菩提 如來 是眞語者

일체중생 즉비중생 수보리 여래 시진어자

實語者 如語者 不?語者 不異語者 須菩提

실어자 여어자 불광어자 불이어자 수보리

如來所得法 此法 無實无虛 須菩提 若菩薩

여래소득법 차법 무실무허 수보리 약보살

心住於法 而行布施 如人入闇 則无所見 若

심주어법 이행보시 여인입암 즉무소견 약

菩薩 心不住法 而行布施 如人有目 日光明照

보살 심부주법 이행보시 여인유목 일광명조

見種種色 須菩提 當來之世 若有善男子善女

견종종색 수보리 당래지세 약유선남자선여

人 能於此經 受持讀誦 則爲如來 以佛智慧

인 능어차경 수지독송 즉위여래 이불지혜

悉知是人 悉見是人 皆得成就 無量无邊功德

실지시인 실견시인 개득성취 무량무변공덕 
 

 

   이상적멸분 제14  (상을 여윈 적멸) 

 

그때 수보리가 이경 설하심을 듣고 그 뜻을 알아 눈물을 흘리면서 부처님께 아뢰오되,

"희유 하십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같이 매우 뜻이깊은 경전을 설하신 것은 제가 이전부터 지금까지 얻은 지혜로는

아직껏 이같은 경을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서 신심이 청정 해지면 곧 실상이  드러날  것이니 마땅히 이 사람은 제일 희유한

공덕을 이룰줄을 알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바로 실상이라 함은 곧 상이 아니기에 여래께서 설하시기를 실상이라 부른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같은 경전을 듣고서 믿어 알고 받아 지니는 것은 족히 어려울 것이 없거니와 만약 당래(내세)

후5백년에 어떤 중생이 이 경을 듣고서 믿어 알고 지닌다면 이 사람은 바로 제일 희유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사람은 아상이 없으며 인상,중생상,수자상도 없기 문입니다.

무슨 까닭인가하면  아상이 곧 상이 아니며 안상,중생상,수자상도 곧 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그렇고 그렇다」

「만일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서 놀라지 않고 두려워하지도 않는다면 마땅히 이 사람은 참으로 희유한 사람인줄을 알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설항 제일바라밀은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기에 이를 제일바라밀이라 부르는 것이다.」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여래가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설 하였기에 이를 인욕바라밀이라 부르는것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적 가리왕에게 몸을베어 끊김에도 내가 그때에 아상이 없었으며 인상도,중생상도,수자상도 없었다

왜냐하면 내가 옛적 뼈 마디마다 절단할 때에 만약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었다면 응당 성내며 원망 했을 것이다.

수보리야 또 생각하니 과거의 5백세동안 인욕선인이 되어 그 곳에서도 아상이 없었으며 인상,중생상,수자상도 없었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일체의 상을 여의고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킬 것이니

응당 색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것이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고 응당 머무르는 바가 없는

마음을 낼 것이다. 만일 마음이 머무는데가 있다면  곧 머무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여래가 설하기를

"보살은 마음을 응당 색에 머물지 않고 보시한다" 고 하였다

수보리야 보살은 일체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 응당 이같이 보시하나니 여래가 설한 일체의 모든 상(相)이 곧 상이 아니며

또 설한 일체중생이 곧 중생이 아니다

수보리야 여래는 바로 진실한 말을 하는 자며 실다운 말을 하는 자며여법한 말을 하는 자며 거짓말을 하지 않는 자며 다른

말을 하지 않는다.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바 법, 이 법은 참도 없으며 거짓도 없다.」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서 보시를 행함은 마치 사람이 어두운데에 들어가면 보이는 것이 없는 거와 같고

만약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함은 마치 사람이 눈(目)이 있어 햇빛이 환히 비추매 갖가지 물색을 보는 거와 같다.」

「수보리야 내세에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어 독송한다면 곧 여래가 부처의 지혜로 이 사람을 다 알며

이 사람을 다 보나니 모두 한량없고 끝없는 공덕을 성취 하리라.」

 

 

 

 

 

Section XV. The Incomparable Value of This Teaching

  

 

Subhuti,if on the one hand,a good man or a good woman performs in the morning as many charitable

acts of self-denial as the sand-grains of the Ganges, and performs as many again in the noonday and

as many again in the evening,and continues so doing throughout numberless ages, and on the other hand, anyone listens to this Discourse with heart of faith and without contention, the latter would be the more blessed. But how can any comparison be made with one who writes it down, receives it,retains it, and explains it to others!

Subhuti,we can summarise the matter by saying that the full value of this Discourse can neither be

conceived nor estimated,nor can any limit be set to it. The Tathagata has declared this teaching for the benefit of initiates of the Great Way; he has declared it for the benefit of initiates of the Supreme Way.

Whosoever can receive and retain this teaching,study it,recite it and spread it abroad will be clearly perceived and recognized by the Tathagata and will achieve a perfection of merit beyond measurement or calculation-a perfection of merit unlimited and inconceivable. In every case such an one will exemplify the Tathagata-Consummation of the Incomparable Enlightenment. Wherefore? Because of doctrines involving the conception of an ego-entity, a personality, 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are unable to accept,receive, study, recite, and openly explain this Discourse.

Subhuti,in every place where this Discourse is to be found the whole realms of Gods, Men and Titans

should offer worship; for you must know that such a place is sanctified like a shrine, and should properly be venerated by all with ceremonial obeisance and circumambulation and with offerings of flowers and incense.

 

持經功德分 第十五   지경공덕분 제십오

 

 須菩提 若有善男子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

수보리 약유선남자선여인 초일분 이항하사

等身 布施 中日分 復以 恒河沙等身 布施 後

등신 보시 중일분 부이 항하사등신 보시 후

日分  亦以恒河沙等身 布施 如是無量百千万

일분 역이항하사등신 보시 여시무량백천만

億劫 以身布施 若復有人 聞此經典 信心不逆

억겁 이신보시 약부유인 문차경전 신심불역

其福勝彼 何況書寫受持讀誦 爲人解說 須菩

기복승피 하황서사수지독송 위인해설 수보

提 以要言之 是經 有不可思議 不可稱量 無

리 이요언지 시경 유불가사의 불가칭량 무

邊功德 如來 爲發大乘者說 爲發最上乘者說

변공덕 여래 위발대승자설 위발최상승자설

若有人 能受持讀誦 廣爲人說 如來 悉知是

약유인 능수지독송 광위인설 여래 실지시

人 悉見是人 皆得成就 不可量 不可稱 無有

인 실견시인 개득성취 불가량 불가칭 무유

邊 不可思議功德 如是人等 則爲荷擔 如來

변 불가사의공덕 여시인등 즉위하담 여래

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何以故 須菩提 若樂小

아뇩다라삼먁삼보리 하이고  수보리 약요소

法者 著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則於此經 不

법자 착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즉어차경 불

能聽受讀誦 爲人解說 須菩提 在在處處 若有

능청수독송 위인해설 수보리 재재처처 약유

此經 一切世間天人阿修羅 所應供養 當知 此

차경 일체세간천인아수라 소응공양 당지 차

處 則爲是塔 皆應恭敬 作礼圍繞 以諸華香 

처 즉위시탑 개응공경 작례위요 이제화향

而散其處 

이산기처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녀인이 있어 아침(초일분)에 항하의 모래수 만큼의 몸을 바쳐 보시하고,

한낮(중일분)에 또 항하의 모래수 만큼의 몸을 바쳐 보시하고,

다시 또 저녁(후일분)에 항하의 모래수 만큼의 몸을 바쳐 보시를 하여,

이와 같이 한량없는 백천만억겁의 시간동안 몸으로 보시한다 하더라도.

만약 또 어떤 사람이 있어 이 경전을듣고 신심으로 거역하지 아니했다면,

바로 이 사람의 복이 저 사람의 복보다 뛰어나리라.

하물며 이경을 베껴 쓰고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 남에게 해설해주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랴!“ 


수보리야! 요점을 말하면, 이 경전은 가히 생각할 수도 없고,

가히 헤아릴 수도 없는 가없는 공덕이 있나니,

여래가 대승의 마음을 이르킨 이를 위하여 설한 것이요,

최상승의 마음을 일으킨 이를 위하여 설한 것이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받아지니고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널리 설해 준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아시고, 이 사람을 다 보나니.

이 사람은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끝도 없으며 가히 생각해 볼 수도 없는 공덕을 모두 얻어 성취케 할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는 사람이 될 것이니라

 

어째서 그러한가? 수보리야! 작은 법에 만족하는 자 들은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에 집착하게 됨으로,

이 경을 들어 자기 것으로 하지도 못하고 읽고 외워 남을 위해 해설하지도 못하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어느 곳이든지 이경이 있는 곳이면 바로 그곳이

일체 세간의 하늘과 인간과 아수라가 기꺼이 공양하리니.

마땅히 알지니라. 이 곳이 곧 탑이 된 곳이어서,

응당 모두가 공경하는 마음으로 절을 드리고 주위를 돌면서 온갖 꽃과 향을 그 곳에 뿌리게 될 거이니라.“

 

 

 

 

Section XVI. Purgation through Suffering the Retribution for Past Sins

 

 

 

Furthermore,Subhuti,if it be that good men and good women, who receive and retain this

Discourse,are downtrodden, their evil destiny is the inevitable retributive result of sins committed

in their past mortal lives. By virtue of their present misfortunes the reacting effects of their past

will be thereby worked out,and they will be in a position to attain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Subhuti,I remember the infinitely remote past before Dipankara Buddha. There were 84,000 myriads

of multi-millions of Buddhas and to all these I made offerings; yes, all these I served without the least trace of fault. Nevertheless, if anyone is able to receive,retain,study,and recite this Discourse at the end of the last500-yearperiod he will gain such a merit that mine in the service of all the Buddhas could not be reckoned as one-hundredth part of it,not even one-thousandth part of it, not even one thousand myriad multi-millionth part of it-indeed, no such comparison is possible.

Subhuti,if I fully detailed the merit gained by good men and good women coming to receive, retain,

study, and recite this Discourse in the last period,my hearers would be filled with doubt and might

become disordered in mind,suspicious and unbelieving. You should know, Subhuti,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ourse is beyond conception;likewise the fruit of its rewards is beyond conception.

 

      能淨業障分 第十六

     능정업장분 제십육

復次 須菩提 善男子善女人 受持讀誦此經 若

부차 수보리 선남자선여인 수지독송차경 약

爲人輕賤 是人 先世罪業 應墮惡道 以今世人

위인경천 시인 선세죄업 응타악도 이금세인

輕賤故 先世罪業 則爲消滅 當得 阿耨多羅三

경천고 선세죄업 즉위소멸 당득 아뇩다라삼

藐三菩提 須菩提 我念 過去無量阿僧祇劫 於

먁삼보리 수보리 아념 과거무량아승지겁 어

然燈佛前 得値八百四千万億 那由他諸佛 悉

연등불전 득치팔백사천만억 나유타제불 실

皆供養承事 無空過者 若復有人 於後末世 能

개공양승사 무공광자 약부유인 어후말세 능

受持讀誦 此經 所得功德 於我所供養 諸佛功

수지독송 차경 소득공덕 어아소공양 제불공

德 百分不及一 千万億分 乃至 算數譬喩 所

덕 백분불급일 천만억분 내지 산수비유 소

不能及 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於後末世 有

불능급 수보리 약선남자선여인 어후말세 유

受持讀誦此經 所得功德 我若具說者 或有人

수지독송차경 소득공덕 아약구설자 혹유인

聞 心則狂亂 狐疑不信 須菩提 當知 是經義

문 심즉광란 호의불신 수보리 당지 시경의

不可思議 果報 亦不可思議

불가사의 과보 역불가사의

 

“이제 다음으로 수보리야! 이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울 때에

이로 인하여 사람들에게 경시당하고 핍박을 받는 다면

이는 전생에 지은, 지옥게 떨어지게 될지도 모르는 죄업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바로 지금세상의 사람들이 이사람을 경시하고 핍박하기 때문에

곧 전생의 죄업이 소멸할 것이요.

그래서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수보리야! 내 돌이켜 보건데. 과거의 헤아릴 수도 없는 아승지 겁의 기나긴 시간동안에,

연등부처님을 뵈옵기 전에도 이미 팔백사만억 나유타 수의 부처님을 뵈올 수 있었고,

또 이 분들을 공양하고 섬김에 조금도 헛된 세월이 없었어라

 

여기 또 한 사람이 있어, 오는 말세에 능히 이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서 얻는 공덕은,

내가 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천만억분의 일 내지 어떠한 산수의 비유로도 그에 미치지 못하리라.

 

수보리야! 선남자 선여인이 이다음 말세에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얽고 외우는 사람이 얻는바 공덕을 내가 만약 자세히 다 말한 다면,

보통 사람들은 그것을 듣고 마음이 미쳐 흐트러지거나, 반신 반의하여 믿으려들지 않을 것이다.

수보리야! 마땅히 알지니라. 이경의 뜻은 불가사의하며 그 과보 또한 불가사의하다는 것을.“

 

 

 

 

 

Section XVII. No one Attains Transcendental Wisdom

 

 

At that time Subhuti addressed Buddha,saying: World-honoured one,if good men and good women

seek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by what criteria should they abide and how should they control their thoughts?

Buddha replied to Subhuti: Good men and good women seeking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must create this resolved attitude of mind: I must liberate all living beings,yet when all have been liberated,verily not any one is liberated. Wherefore? If a Bodhisattva cherishes the idea of an ego-entity, a personality,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he is consequently not a Bodhisattva,Subhuti. This is because in reality there is no formula which gives rise to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Subhuti,what do you think? When the Tathagata was with Dipankara Buddha was there any formula

for the attainment of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No, World-honoured one, as I understand Buddha`s meaning,there was no formula by which

the Tathagata attained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Buddha said: You are right,Subhuti! Verily there was no formula by which the Tathagata attained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Subhuti,had there been any such formula, Dipankara Buddha would not have predicted concerning me: "In the ages of the future you will come to be a Buddha called Shakyamuni"; but Dipankara Buddha made that prediction concerning me because there is actually no formula for the attainment of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The reason herein is that Tathagata is a signification implying all formulas. In case anyone says that the Tathagata attained the Consummation of Incoparable Enlightenment, I tell you truly, Subhuti, that there is no Formula by which the Buddha attained it. Subhuti,the basis of Tathagata`s attainment of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is wholly beyond; it is neither real nor unreal. Hence I say that the whole realm of formulations is not really such, therefore it is called "Realm of formulations."

Subhuti,a comparison may be made with the idea ofa gigantic human frame.

Then Subhuti said: The World-honoured one has declared that such is not a great body; "a great body" is just the name given to it.

Subhuti,it is the same concerning Bodhisattvas. If a Bodhisattva announces: I will liberate all living

creatures, he is not rightly called a Bodhisattva. Wherefore? Because, Subhuti, there is really no such condition as that called Bodhisattvaship, because Buddha teaches that all things are devoid of selfhood,devoid of personality, devoid of entity, and devoid of separate individuality. Subhuti,if a Bodhisattva announces:

 

I will set forth majestic Buddha-lands one does not call him a Bodhisattva,because the Tathagata has declared that the setting forth of majestic Buddha-lands is not really such: "a majestic setting forth" is just the name given to it.

Subhuti,Bodhisattvas who are wholly devoid of any conception of separate selfhood are truthfully

called Bodhisattvas.

 

    究竟無我分 第十七

    구경무아분 제십칠 

尒時 須菩提 白佛言 世尊 善男子善女人 發

이시 수보리 백불언 세존 선남자선여인 발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云何應住 云何降伏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운하응주 운하항복

其心 佛告須菩提 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

기심 불고수보리 선남자선여인 발아뇩다라 

三藐三菩提者 當生如是心 我應滅度一切衆

삼먁삼보리자 당생여시심 아응멸도일체중

生 滅度一切衆生已 而无有一衆生 實滅度者

생 멸도일체중생이 이무유일중생 실멸도자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人相衆生相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인상중생상

壽者相 則非菩薩 所以者何 須菩提 實無有法

수자상 즉비보살 소이자하 수보리 실무유법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 須菩提 於意云何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자 수보리 어의운하

如來 於然燈佛所 有法 得阿耨多羅三藐三菩

여래 어연등불소 유법 득아뇩다라삼먁삼보

提不 不也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佛於然燈佛

리부 불야 세존 여아해불소설의 불어연등불

所 無有法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佛言 如是

소 무유법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불언 여시

如是 須菩提 實無有法 如來 得阿耨多羅三藐

여시 수보리 실무유법 여래 득아뇩다라삼먁

三菩提 須菩提 若有法 如來得阿耨多羅三藐

삼보리 수보리 약유법 여래득아뇩다라삼먁

三菩提者 然燈佛 則不與我受記 汝於來世 當

삼보리자 연등불 즉불여아수기 여어래세 당

得作佛 號釋迦牟尼 以實无有法 得阿耨多羅

득작불 호석가모니 이실무유법 득아뇩다라

三藐三菩提 是故 然燈佛 與我受記 作是言 

삼먁삼보리 시고 연등불 여아수기 작시언

汝於來世 當得作佛 號釋迦牟尼 何以故 如

여어래세 당득작불 호석가모니 하이고 여

來者 卽諸法如義 若有人言 如來 得阿耨多

래자 즉제법여의 약유인언 여래 득아뇩다

羅三藐三菩提 須菩提 實無有法 佛得阿耨多

라삼먁삼보리 수보리 실무유법 불득아뇩다

羅三藐三菩提 須菩提 如來 所得 阿耨多羅三

라삼먁삼보리 수보리 여래 소득 아뇩다라삼

藐三菩提 於是中 無實无虛 是故 如來說一切

먁삼보리 어시중 무실무허 시고 여래설일체 

法 皆是佛法 須菩提 所言一切法者 卽非一

법 개시불법 수보리 소언일체법자 즉비일

切法 是故 名一切法 須菩提 譬如人身長大

체법 시고 명일체법 수보리 비여인신장대

須菩提言 世尊 如來說 人身長大 則爲非大

수보리언 세존 여래설 인신장대 즉위비대

身 是名大身 須菩提 菩薩 亦如是 若作是言

신 시명대신 수보리 보살 역여시 약작시언

我當滅度 無量衆生 則不名菩薩 何以故 須菩

아당멸도 무량중생 즉불명보살 하이고 수보

提 實无有法 名爲菩薩 是故 佛說一切法 無

리 실무유법 명위보살 시고 불설일체법 무

我无人無衆生無壽者 須菩提 若菩薩 作是言

아무인무중생무수자 수보리 약보살 작시언

我當莊嚴佛土 是不名菩薩 何以故 如來說

아당장엄불토 시불명보살 하이고 여래설

莊嚴佛土者 卽非莊嚴 是名莊嚴 須菩提 若

장엄불토자 즉비장엄 시명장엄 수보리 약

菩薩 通達無我法者 如來說 名眞是菩薩 

보살 통달무아법자 여래설 명진시보살  

 

이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어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냈으면,

마땅히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오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선남자 선여인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발하는 자는 반드시 이와 같은 마음을 낼 지어다. "

나는 마땅히 일체중생을 제도하리라.

그러나 이미 일체중생을 다 제도하였지만.

실은 한 중생도 제도한 바가 없었노라’ 라고.

 

어째서 그러한가.?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이나 인상이나 중생상이나 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까닭이 무엇이뇨? 수보리야 ! 실은 어떤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킨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 하뇨?

여래가 연등부처님이 계신 곳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만한 어떤 법이 있었느냐? 있지 아니 하였느냐?

“있지 아니 하였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의 뜻을 이해하기로는

부처님이 연등부처님이 계신 곳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니를 얻을 만한 법이 따로 있지 아니하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야! 여래는 실로 어떤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 아니니라.

어째서 그러한가? 여래하고 하는 것은 바로 모든 법이 그대로 같다는 뜻이기 때문이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라고 말한다 하더라도

수보리야! 실로 부처는 어떤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니라.

수보리야! 내가 말하는 바 일체법이라 하는 것도 바로 일체의 법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름 하여 일체법이라고 하느니라.“

“수보리아! 비유컨대 사람의 몸이 장대한 것과 같다.”

수보리가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사람의 몸이 크다고 말씀하신 것은 바로 큰 몸이 아니라 그 이름이 큰 몸이옵니다.”
수보리야! 보살 또한 이와 같다.

보살이 만약 ‘나는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중생을 마땅히 제도 하였노라’라고 말하였다면 그를 보살이라 이름 할 수 없느니라.

어째서 그러한가? 수보리야! 진실로 어떤 법도 두지 않아야 보살이라 이름 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부처는 말하느니라. 일체의 법에는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다 라고.“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나는 반드시 불토를 장엄하리라고 이런 말을 했다면 그는 보살이라 이름 할 수 없느니라.

어째서 그러한가 ? 여래가 불토를 장엄한다고 설하는 것은 바로 장엄이아니라. 그 이름 이장엄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무아의 법에 통달하면, 여래는 비로소 그를 참 보살이라고 이름 할 것이니라.“

 

 

해설 : 제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의 결론이다. 만약 무아의 법을 통달하면 그것이 바로 참 보살이라고. 결국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긍극적인 무아의 경지를 설하기 위하여 뗏목을 타고 여기까지 온 것이다. 항로를 다시한번 살펴보면 (1) ‘운하응주 운하항복기심(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이라는 대승의 종지를 동원하였고, (2) 일체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서원을 가지고 일체 중생을 이미 제도하였지만 한 중생도  실로 제도한 바 없다는 항복기심의 경지와 (3) 일체의 망념인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등을 사라지게 하는 항복기심의 대상이 동원되었으며, (4) 법이 없음을 설하기 위하여 연등불 처소에서의 실무유법(實無有法)과 수기(受記)의 이유가 동원되기도 하였고, (5) 일체법이 차별없는 여래임이 설해지기도 하였다. (6) 또한 무실무허(無實無虛)로서 각(覺)의 경지의 언설을 차단하기도 하였고, (7) 일체법이 불법임을 설하여 일체법의 평등무차별을 설하기도 하고 (8) 인신장대(人身長大)의 비유를 들어 언설이 끊긴 일체법의 평등을 다시 재 강조하기도 하였다. (9) 그래서 불타는 아직 중생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염려하여 다시 앞에서 동원된 ‘무량중생을 제도했다고 하면 보살이 아니다.’, ‘실로 보살이라 이름 할 아무런 법도 없다.’, 그리고 ‘일체법의 무아’등을 재차 동원하였으며, (10) 그리고 장엄이라는 언설을 부정하여 장엄의 실상을 보여 주기 위하여 ‘불토를 장엄한다는 것은 그 이름이 장엄일 뿐’이라는 언설을 동원하면서 (11) 불법수행의 극과(極果)가 무아(無我)의 이치를 깨닫는데 있음을 설하면서 긴 뗏목의 여정을 마치고 피안에 도달한 것이다. 불교의 종지는 무아요, 대승의 종착은 무아요, 보살의 종국은 무아이다.

 

 

 

 

Section XVIII. All Modes of mind are Really only Mind

 

 

 

Subhuti,what do you think? Does the Tathagata possess the human eye?

Yes,World-honoured one,He does.

Well,do you think the Tathagata possesses the divine eye?

Yes,World-honoured one,He does.

And do you think the Tathagata possesses the gnostic eye?

Yes,World-honoured one,He does.

And do you think the Tathagata possesses the eye of transcendent wisdom ?

Yes,World-honoured one,He does.

And do you think the Tathagata possesses the Buddha-eye of omniscience?

Yes,World-honoured one,He does.

Subhuti,what do you think? Concerning the sand-grains

of the Ganges,has the Buddha taught about them?

Yes,World-honoured one,the Tathagata has taught concerning these grains.

Well,Subhuti,if there were as many Ganges rivers as the sand-grains of the

Ganges and there was a Buddha-land for each sand-grain in all those Ganges

rivers,would those Buddha-lands be many?

Subhuti replied: Many indeed,World-honoured one!

Then Buddha said: Subhuti,however many living beings there

are in all those Buddha lands,though they have manifold modes of mind,

the Tathagata understands them all. Wherefore? Because the Tathagata

teaches that all these are not Mind; they are merely called "mind".

Subhuti,it is impossible to retain past mind,impossible to hold on to

present mind,and impossible to grasp future mind.

 


           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동관분 제십팔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肉眼不 如是 世尊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유육안부 여시 세존

如來 有肉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天眼

여래 유육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유천안

不 如是 世尊 如來 有天眼 須菩提 於意云何

부 여시 세존 여래 유천안 수보리 어의운하

如來 有慧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慧眼 須菩

여래 유혜안부 여시 세존 여래 유혜안 수보

提 於意云何 如來 有法眼不 如是 世尊 如來

리 어의운하 여래 유법안부 여시 세존 여래

有法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佛眼不 如

유법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유불안부 여

是 世尊 如來 有佛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

시 세존 여래 유불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

恒河中 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 世尊 如來

항하중 소유사 불설시사부 여시 세존 여래

說是沙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설시사 수보리 어의운하 여일항하중소유사

有如是等恒河 是諸恒河 所有沙數 佛世界

유여시등항하 시제항하 소유사수 불세계

如是寧爲多不 甚多 世尊 佛告須菩提 尒所

여시영위다부 심다 세존 불고수보리 이소

國土中 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 悉知 何以

국토중 소유중생 약간종심 여래 실지 하이

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所以者

고 여래설제심 개위비심 시명위심 소이자

何 須菩提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

하 수보리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

心不可得

심불가득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제 18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에게 육안이 있는 것이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육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에게 천안이 있는 것이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천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에게 혜안이 있는 것이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혜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에게 법안이 있는 것이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 여래는 법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에게 불안이 있는 것이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불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항하에 있는 저 모래를 부처가 말한 적이 있느냐? 없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그 모래를 말한 적이 있사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그 많은 세계 가운데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는 다 아느니라.

어째서 그러한가? 여래가 설하는 마음은 다 마음이 아니고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뇨?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해설 : “이소국토”는 “불세계”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 불세계는 중생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헤아릴 수 없는 무형의 세계임을 이야기 했다. 그리고 그 무형의 마음 세계에는 또다시 갖가지 욕망과 무지와 번뇌가 셀 수 없을 만큼 들어 있느니 그것을 중생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여래는 중생의 한량없이 많은 마음을 모두 아실 수 있을까? 그 까닭은 중생들의 마음은 본래 그 이름이 마음일 뿐이지 실은 마음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마음도 실체가 없다는 심공(心空)을 이해해야 한다.

여래가 보았다는 중생이 마음은 헤아리고 분석하고 탐내고 성내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허깨비 같은 번뇌 망상의 마음을 본 것이 아니라 여래와 똑 같은 자리인 중생들의 마음속에 모두 가지고 있는 반야법신의 본심을 보았다는 것이다. 한량없는 중생의 마음도 실은 실체가 없는 공한 것으로 하나의 깨달음 이라는 것이 이 분의핵심이다. 5안으로 중생을 본 여래나 여래에 의해서 비추어진 중생이나 모두가 하나의 마음인 것이다.

 

과거심(過去心)은 사라져 없기 때문에 얻을 수 없는 것(to retain) 은 당연한 이치이고, 미래심(未來心) 역시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에 얻을 수 없는 것(to grasp)은 또한 당연한 이치이다. 현재심(現在心)도 ‘현재’의 ‘현’을 쓰고 ‘재’를 쓸 때는 ‘현’은 벌써 과거가 되었고 ‘재’를 쓰기 전에는 미래지만 쓰고 나면 다시 과거가 되므로 얻을 수 없기는 매한가지이다. 이와 같이 잡을 수 없는(to hold on)  마음이 어떻게 진심일 것인가. 그것은 허망한 심념인 망심(妄心)일 뿐이다. 여래는 이 망심을 버리게 하여 각(覺)의 세계로 인도하기 위하여 온갖 방편을 쓰고 있는 것이다. ♠♡♥

 

 

 

 

Section XIX.Absolute Reality is the only Foundation

 

 

 

Subhuti,what do you think? If anyone filled three thousand galaxies of worlds with the seven

treasures and gave all away in gifts of alms, would he gain great merit?

Yes,indeed,World-honoured one,he would gain great merit!

Subhuti,if such merit was Real,the Tathagata would not have declared it to be great,

but because it is without a foundation the Tathagata characterised it as "great".

 

       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통화분 제십구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 滿三千大千世界 七

수보리 어의운하 약유인 만삼천대천세계 칠

寶 以用布施 是人以是因緣 得福 多不 如是

보 이용보시 시인이시인연 득복 다부 여시

世尊 此人 以是因緣 得福 甚多 須菩提 若

세존 차인 이시인연 득복 심다 수보리 약

福德 有實 如來 不說得福德多 以福德無故

복덕 유실 여래 불설득복덕다 이복덕무고

如來說 得福德多

여래설 득복덕다

 

 

 

 

Section XX. The Unreality of Phenomenal Distinctions

 

 

 

Subhuti, what do you think? Can the Buddha be perceived by His perfectly-formed body?

No,World-honoured one,the Tathagata cannot be perceived by His perfectly-formed body,

because the Tathagata teaches that a perfectly-formed body is not really such;

it is merely called "a perfectly formed body".

Subhuti,what do you think? Can the Tathagata be perceived by means of any phenomenal

characteristic?

No,World-honoured one,the Tathagata may not be perceived by any phenomenal characteristic,

because the Tathagata teaches that phenomenal characteristics are not really such; they are

merely termed "phenomenal characteristics".

 

            離色離相分 第二十

            이색이상분 제이십

須菩提 於意云何 佛 可以具足色身 見不 不

수보리 어의운하 불 가이구족색신 견부 불

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色身 見 何以故 如

야 세존 여래 불응이구족색신 견 하이고 여

來說 具足色身 卽非具足色身 是名具足色身

래설 구족색신 즉비구족색신 시명구족색신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可以具足諸相 見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가이구족제상 견부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諸相 見 何以故

불야 세존 여래 불응이구족제상 견 하이고

如來說 諸相具足 卽非具足 是名諸相具足

여래설 제상구족 즉비구족 시명제상구족

 

 

 

 

Section XXI. Words cannot express Truth.

 

 

 

That which Words Express is not Truth

Subhuti,do not say that the Tathagata conceives the idea: I must set forth a Teaching.

For if anyone says that the Tathagata sets forth a Teaching he really slanders Buddha

and is unable to explain what I teach. As to any Truth-declaring system,Truth is undeclarable;

so "an enunciation of Truth" is just the name given to it.

Thereupon,Subhuti spoke these words to Buddha:

World-honoured one,in the ages of the future will there be men coming to hear a declaration

of this Teaching who will be inspired with belief?

And Buddha answered: Subhuti,those to whom you refer are neither living beings

nor not-living beings. Wherefore? Because "living beings", Subhuti,these "living beings"

are not really such; they are just called by that name.

 

        非說所說分 第二十一

        비설소설분 제이십일

須菩提 汝勿謂 如來作是念 我當有所說法 莫

수보리 여물위 여래작시념 아당유소설법 막

作是念 何以故 若人 言如來 有所說法 卽爲

작시념 하이고 약인 언여래 유소설법 즉위

謗佛 不能解我所說故 須菩提 說法者 無法可

방불 불능해아소설고 수보리 설법자 무법가

說 是名說法 時 慧命 須菩提 白佛言世尊

설 시명설법 이시 혜명 수보리 백불언 세존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生信心不 佛言

파유중생 어미래세 문설시법 생신심부 불언

須菩提 彼非衆生 非不衆生 何以故 須菩提

수보리 피비중생 비불중생 하이고 수보리

衆生衆生者 如來說非衆生 是名衆生

중생중생자 여래설비중생 시명중생   

 

 

 

Section XXII. It Cannot be Said That Anything is Attainable

 

 

 

Then Subhuti asked Buddha: World-honoured one, in the attainment of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did Buddha make no acquisition whatsoever?

Buddha replied : Just so,Subhuti. Through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I acquired not even the least thing; wherefore it is called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無法可得分 第二十二

        무법가득분 제이십이

須菩提 白佛言 世尊 佛得阿耨多羅三藐三菩

수보리 백불언 세존 불득아뇩다라삼먁삼보

提 爲無所得耶 (佛言) 如是如是 須菩提 我

리 위무소득야 (불언) 여시여시 수보리 아

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 乃至無有少法可得 是

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 내지무유소법가득 시

名 阿耨多羅三藐三菩提

명 아뇩다라삼먁삼보리  

 

 

 

Section XXIII. The Practice of Good Works Purifies the Mind

 

 

 

Furthermore, Subhuti, This is altogether everywhere, without differentiation or degree;

wherefore it is called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It is straightly attained

by freedom from separate personal selfhood and by cultivating all kinds of goodness.

Subhuti, though we speak of "goodness" the Tathagata declares that there is no goodness;

such is merely a name.

 

               淨心行善分 第二十三

               정심행선분 제이십삼

復次 須菩提 是法 平等 無有高下 是名阿耨

부차 수보리 시법 평등 무유고하 시명아뇩

多羅三藐三菩提 以无我無人無衆生无壽者 修

다라삼먁삼보리 이무아무인무중생무수자 수

一切善法 則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일체선법 즉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所言善法者 如來說 (卽)非善法 是名善法

소언선법자 여래설 (즉)비선법 시명선법

 

 

 

 

Section XXIV. The Incomparable Merit of This Teaching

 

 

 

Subhuti,if there be one who gives away in gifts of alms a mass of the seven treasures equal in

extent to as many mightly Mount Sumerus as there would be in three thousand galaxies of worlds,

and if three be another who selects even only four lines from this Discourse upon 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receiving and retaining them, and clearly expounding them to others,

the merit of the latter will be so far greater than that of the former that no conceivable comparison

can be made between them.

 

             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지무비분 제이십사

須菩提 若三千大千世界中 所有諸須弥山王

수보리 약삼천대천세계중 소유제수미산왕

如是等七寶聚 有人 持用布施 若人 以此般

여시등칠보취 유인 지용보시 약인 이차반

若波羅蜜經乃至 四句偈等 受持讀誦 爲他人

야바라밀경내지 사구게등 수지독송 위타인

說 於前福德 百分不及一 百千万億分 乃至

설 어전복덕 백분불급일 백천만억분 내지

算數譬喩 所不能及

산수비유 소불능급

 

 

 

 

Section XXV. The Illusion of Ego

 

 

 

Subhuti,what do you think? Let no one say the Tathagata cherishes the idea: I must liberate

all living beings. Allow no such thought, Subhuti. Wherefore? Because in reality there are no living

beings to be liberated by the Tathagata. If there were living beings for the Tathagata to liberate,

He would partake in the idea of selfhood,personality entity,and separate individuality.

Subhuti, though the common people accept egoity as real,the Tathagata declares that ego is not

different from non-ego. Subhuti,whom the Tathagata referred to as "common people" are not really

common people; such is merely a name.

 

           化無所化分 第二十五

           화무소화분 제이십오 

 須菩提 於意云何 汝等勿謂 如來作是念 我當

수보리 어의운하 여등물위 여래작시념 아당

度衆生 須菩提 莫作是念 何以故 實無有衆

도중생 수보리 막작시념 하이고 실무유중

生 如來度者 若有衆生 如來度者 如來 則有

생 여래도자 약유중생 여래도자 여래 즉유

我人衆生壽者 須菩提 如來說 有我者 則非有

아인중생수자 수보리 여래설 유아자 즉비유

我 而凡夫之人 以爲有我 須菩提 凡夫者 如

아 이범부지인 이위유아 수보리 범부자 여

來說 則非凡夫 (是名凡夫)

래설 즉비범부 (시명범부)

 

 

 

 

Section XXVI. The Body of Truth has no Marks

 

  

Subhuti,what do you think ? May the Tathagata be perceived by the thirty-two marks of a great man?

Subhuti answered: Yes,certainly the Tathagata may be perceived thereby.

Then Buddha said: Subhuti,if the Tathagata may be perceived by such marks any great imperial

ruler is the same as the Tathagata.

Subhuti then said to Buddha: World-honoured one, as I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a`s words

the Tathagata may not be perceived by the thirty-two marks. Whereupon the World-honoured one uttered

this verse:

Who sees Me by form,

Who seeks Me in sound,

Perverted are his footsteps upon the Way;

For he cannot perceive the Tathagata.

 

          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비상분 제이십육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 觀如來不 須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삼십이상 관여래부 수菩提言 如是如是 以三十二相 觀如來 佛言보리언 여시여시 이삼십이상 관여래 불언須菩提 若以三十二相 觀如來者 轉輪聖王 則수보리 약이삼십이상 관여래자 전륜성왕 즉是如來 須菩提白佛言 世尊 如我解佛所說義시여래 수보리백불언 세존 여아해불소설의不應以三十二相 觀如來 爾時 世尊 而說偈言불응이삼십이상 관여래 이시 세존 이설게언

 

若以色見我약이색견아以音聲求我이음성구아 是人行邪道시인행사도 不能見如來 불능견여래 

 

 

법신비상분 제 26 (법신은 상(모양)으로  존재가 아니다)
         
“수보리야.어떠한가?삼십이상 특징으로
여래볼수 있겠는가?” 

수보리가 말하기를,
“맞습니다.맞습니다.삼십이상 특징으로
여래뵐수 있습니다.” 

부처님이 말씀하길,
“수보리야.삼십이상 특징으로 여래볼수
있다면은 전륜성왕 또한여래 이겠구나.”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기를,
“세존이여.설하신뜻 알고보니 삼십이상
으로써는 여래뵐수 없습니다.” 

 

그때세존 게송으로 말씀하길,
“색으로써 부처님을 보려거나
음성으로 부처님을 찾는다면
이사람은 삿된도를 행하는것
부처님을 능히볼수 없느니라.”

 

☞ 금강경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Section ⅩⅩⅦ. It is Erroneous to Affirm that All Things are Ever Extinguished

 

 

 

Subhuti,if you should conceive the idea that the

Tathagata attained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by reason of HIs perfect form,do not

countenance such thoughts. The Tathagata`s attainment

was not by reason of His perfect form.

On the other handSubhuti,if you should conceive

the idea that anyone in whom dawns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declares that all manifest

standards are ended and extinguished,do not countenance

such thoughts. Wherefore? Because the man in whom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dawns does

not affirm concerning any formula that it is finally extinguished.

 

               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무단무멸분 제이십칠 

須菩提 汝若作是念 如來不以具足相故 得阿

수보리 여약작시념 여래불이구족상고 득아

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莫作是念 如來 不

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막작시념 여래 불

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이구족상고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汝若作是念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說

여약작시념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설

諸法斷滅相 莫作是念 何以故 發阿耨多羅三

제법단멸상 막작시념 하이고 발아뇩다라삼

藐三菩提心者 於法 不說斷滅相

먁삼보리심자 어법 불설단멸상

 

 

 

 

Section ⅩⅩⅧ. Attachment to Rewards of Merit

 

 

 

Subhuti,if one Bodhisattva bestows in charity

sufficient of the seven treasures to fill as many worlds

as there be sand-grains in the river Ganges,and another,

realizing that all things are egoless,attains perfection

through patient forbearance,the merit of the latter

will far exceed that of the former. Why is this, Subhuti?

It is because all Bodhisattvas are insentient as to

the rewards of merit.

Then Subhuti said to Buddha: What is this saying,

World-honoured one, that Bodhisattvas are insentient as to rewards of merit?

And Buddha answered: Subhuti,Bodhisattvas

who achieve merit should not be fettered with desire

for rewards. Thus it is said that rewards of merit are not received.

 

            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불수불탐분 제이십팔

須菩提 若菩薩 以滿恒河沙等世界 七寶 (持

수보리 약보살 이만항하사등세계 칠보 (지

用)布施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용)보시 약부유인 지일체법무아 득성어인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何以故) 須菩提

차보살 승전보살 소득공덕 (하이고) 수보리

以諸菩薩 不受福德故 須菩提 白佛言 世尊

이제보살 불수복덕고 수보리 백불언 세존

云何菩薩 不受福德 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운하보살 불수복덕 수보리 보살 소작복덕

不應貪著 是故 說不受福德

불응탐착 시고 설불수복덕

 

“수보리야! 만약 어떤 보살이 항하의 모래 수만큼이나 많은 세계에 칠보를 가득 채워서 보시했다. 하고.

또 다른 사람이 일체의 법이 무아임을 알아서 참는 진리를 터득하였다면.

이보살의 공덕이 앞의 보살이 얻은 바의 공덕보다 더 뛰어나리라. 

수보리야!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니라.

“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는 것이옵니까?“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자기가 지은복덕에 참착하지 않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느리라.“ 

 

 

 

Section XXIX. Perfect Tranquility

 

 

 

Subhuti, if anyone should say that the Tathagata comes or goes or sits or reclines,

he fails to understand my teaching Why? Because TATHAGATA has neither

whence nor whither,therefore is He called "Tathagata".

 

            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적정분 제이십구

 須菩提 若有人言 如來 若來若去若坐若臥 是

수보리 약유인언 여래 약래약거약좌약와 시

人 不解我所說義 何以故 如來者 無所從來

인 불해아소설의 하이고 여래자 무소종래

亦无所去 故名如來

역무소거 고명여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를 일컬어 온다거나, 간다거나. 앉는다거나, 눕는다거나 라고 말한다면

이 사람은 내가 설한 바 뜻을 알지 못하는 것이니라.  

어째서 그러한가?

여래는 어디로부터 온 바도 없으며 또한 어디론가 가는 바도 없기 때문에 여래라고 이름 하는 것이니라.“
 

 

 

 

 

Section XXX. The integral Principle

 

 

 

Subhuti, if a good man or a good woman ground an infinite number of galaxies of worlds

to dust, would the resulting minute particles be many?

Subhuti replied: Many indeed, World-honoured one! Wherefore? Because if such were

really minute particles Buddha would not have spoken of them as minute particles.

For as to this,Buddha has declared that they are not really such. "Minute particles" is just

the name given to them. Also, World-honoured one,when the Tathagata speaks of

galaxies of worlds these are not worlds; for if reality could be predicted of a world it would be

a self-existent cosmos and the Tathagata teaches that there is really no such thing.

"Cosmos" is merely a figure of speech.

Then Buddha said: Subhuti, words cannot explain the real nature of a cosmos. only common

people fettered with desire make use of this arbitrary method.

 

           一合離相分 第三十

          일합리상분 제삼십

 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以三千大千世界 碎

수보리 약선남자선여인 이삼천대천세계 쇄

爲微塵 於意云何 是微塵衆 寧爲多不 (須菩

위미진 어의운하 시미진중 영위다부 (수보

提言) 甚多 世尊 何以故 若是微塵衆 實有者

리언) 심다 세존 하이고 약시미진중 실유자

佛則不說 是微塵衆 所以者何 佛說微塵衆 則

불즉불설 시미진중 소이자하 불설미진중 즉

非微塵衆 是名微塵衆 世尊 如來所說 三千大

비미진중 시명미진중 세존 여래소설 삼천대

千世界 則非世界 是名世界 何以故 若世界

천세계 즉비세계 시명세계 하이고 약세계

實有者 則是一合相 如來說一合相 則非一合

실유자 즉시일합상 여래설일합상 즉비일합

相 是名一合相 須菩提 一合相者 則是不可說

상 시명일합상 수보리 일합상자 즉시불가설

但凡夫之人 貪著其事

단범부지인 탐착기사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힘껏 부수어 티끌로 만들었다면,

네 뜻에 어떠하뇨?

이 티끌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 

“정말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어째서 이 옵니까?

만약 그 티끌들이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티끌들이라 설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그 까닭은 무엇이 옵니까?

부처님께서 설하시는 티끌들은 곧 티끌들이 아니오라 그 이름이 티끌들이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설하시는 삼천대천세계도 바로세계가 아니오며, 그 이름이 세계라 하신 것이옵니다.

어째서 이 옵니까? 만약 세계가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곧 하나로 합해진 상일 것이 옵니다.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일합상은 곧 일합상이 아니오며, 그 이름이 일합상일 뿐이옵니다. 

“수보리야!

일합상이라는 것은 말로 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범부들이 그것에 탐착한 뿐이니라.”

 

해석 : 제30 일합이상분은 불타가 깨달은 진리와 존재하는 현상의 세계가 하나라는 것을 설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 큰 삼천대천세계와 가장 작은 미진도 나타난 현상으로 보면 크고 작은 것이지만 이치의 본체에서 보면 크고 작음이 없는 것이며, 세계라든가 먼지라든가 하는 언설도 단지 이름일 뿐 그 이름이 실상이 아님을 설하고 있다.

어떤 식으로 물질을 쪼개고 분석하든 그것들은 독립적이고 실체적이고 불변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인연적이고 가상적이고 가변적인 존재인 것이다.(色卽是空 空卽是色). 그것이 어떠한 물질이 되었건 무아성(無我性)이고 연기성(緣起性)이고 공성(空性)인 것이다. 해체되고 해체되어 더 이상 그 무엇이 없을 때 거기에는 아무 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만 존재하는 형태를 띄게 되는 것이다.(眞空妙有).

 

해설 : 제30 일합이상분은 불타가 깨달은 진리와 존재하는 현상의 세계가 하나라는 것을 설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 큰 삼천대천세계와 가장 작은 미진도 나타난 현상으로 보면 크고 작은 것이지만 이치의 본체에서 보면 크고 작음이 없는 것이며, 세계라든가 먼지라든가 하는 언설도 단지 이름일 뿐 그 이름이 실상이 아님을 설하고 있다.

어떤 식으로 물질을 쪼개고 분석하든 그것들은 독립적이고 실체적이고 불변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인연적이고 가상적이고 가변적인 존재인 것이다.(色卽是空 空卽是色). 그것이 어떠한 물질이 되었건 무아성(無我性)이고 연기성(緣起性)이고 공성(空性)인 것이다. 해체되고 해체되어 더 이상 그 무엇이 없을 때 거기에는 아무 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만 존재하는 형태를 띄게 되는 것이다.(眞空妙有).

 

이 세계에 존재하는 물질세계의 물질은 분석되고 분석되어 마지막에는 원자, 전자, 소립자, 쿼크, 파라마라 등이 되며 마침내는 공(空)이 되는 것이다. 이 공은 아무 것도 없는 것이 아니다. 최후의 에너지로서 엄청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원자폭탄의 폭발처럼.

근본적으로 티끌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두가 공으로부터 형성되었기 때문에 불타는 티끌에 대해 설하고 있는 것이다.

 

미세한 티끌이 하나로 합하여지면 또다시 삼천대천세계가 된다.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티끌로 만들었으니 그 티끌을 다시 합하면 다시 본래의 세계가 될 것이다. 그 티끌이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이름일 뿐이라면 그것을 하나로 합한 세계도 세계가 아니고 단지 이름일 뿐이라는 것은 당연한 논리 이다.

[금강경]은 상을 깨뜨리는 공부이다. 부처님의 색신과 법에 대한 상을 깨뜨리고, 부처님의 설법, 정토장엄, 깨달음, 인욕, 보시, 오고 감, 법의 있고 없음 그리고 중생을 깨뜨리고 이제는 이 세상도 깨뜨리고 있다. 세계도 그 이름이 세계일 뿐이며 세계가 실제로 있는 것이며 일합상 즉 하나의 모양(진실로 변하지 않는, 한결같은 모습)이어야 한다고 설하고 있다. 즉 세계가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영원불변해야 하는데 우리의 이 세계라는 것은 인연에 의해서 일어나고 인연에 의해서 지금도 사라지는 무상(無常)하고 허망(虛妄)한 존재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불타가 설하고 있는 진실한 일합상 즉 변하지 않고 영원한 하나의 모양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부처님이 깨치신 법신인 것이다.

진짜 일합상은 지금 우리 앞에 펼쳐진 삼천대천세계의 모습이 아니라 뚜렷이 밝아 있는 진여(眞如) 본성(本性)으로서의 부처님(法身)을 말하며 중생들로서는 그 경지를 알 수도 없고 이름을 붙일 수도 없다는 것이다.

이 법신을 보지 않고 중생은 그 말에 탐착하여 상을 짓고 허망한 세계에 굳이 집착하고 애착을 갖게 된다. 불타가 설하고자 하는 내용은 허망한 티끌세계를 진실로 여기지 말고 모든 애착과 탐욕을 끊어 영원 불변한 진짜 세계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범부중생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무엇이든 움켜쥐려고 한다. 이것을 악고(握固)라고 한다. 아기가 태어날 때는 주먹을 꼭 쥐고 있으며, 우리가살아가는 동안은 항상 무엇인가를 쥐려고 손이 오므라져 있고, 죽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전히 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타는 말 할 수 없다고 한다. 말을 꺼내면 중생은 그것을 탐하고 그기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Section XXXI. Conventional Truth Should be Cut Off

 

 

 

Subhuti, if anyone should say that Buddha declares any conception of egoity do you consider

he would understand my teaching aright?

No, World-honoured one, such a man would not have any sound understanding of the Tathagata`s

teaching, because the World-honoured one declares that notions of selfhood, personality, entity and

separate individuality, as really existing, are erroneous-these terms are merely figures of speech.

Thereupon Buddha said: Subhuti,those who aspire to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should recognize and understand all varieties of things in the same way and cut off

the arising of views which are mereaspects. Subhuti, as regards aspects, the Tathagata declares

that in reality they are not such. They are called "aspects".

 

              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지견불생분 제삼십일

須菩提 若人 言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수보리 약인 언불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須菩提 於意云何 是人 解我所說義不 (不也)

수보리 어의운하 시인 해아소설의부 (불야)

世尊 是人 不解如來所說義 何以故 世尊 說

세존 시인 불해여래소설의 하이고 세존 설

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卽非我見人見衆生見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즉비아견인견중생견

壽者見 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須菩提

수자견 시명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수보리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於一切法 應如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어일체법 응여

是知 如是見 如是信解 不生法相 須菩提 所

시지 여시견 여시신해 불생법상 수보리 소

言法相者 如來說 卽非法相 是名法相

언법상자 여래설 즉비법상 시명법상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부처가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설했다고 말한다면,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이 사람 내가 설한 바의 뜻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냐?”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설하신 바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였나이다.

어째서 그러하옵나이까?

세존께서 설하신 아견. 인견. 중생견 . 수자견을 곧 아견 .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고

그 이름이 아견 .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사람은

일체의 법에서 마땅히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고, 이와같이 믿고 이해하여, 마음에 법의 상을 지어서는 안되느니라.

수보리야! 말한 바의 법상이라고 하는 것은,

여래는 바로 법상이 아니고 그 이름이 법상이라고 설하느니라.”

지견불생분은 여래가 설한 진정한 본래의 뜻을 알지 못하고 그 지견(知見)을 내는 것을 경계하는 것으로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설하고 그것 역시 단지 이름일 뿐이라는 것을 상기시킨다. 또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낸 자는 역시 일체법을 여여하게 그렇게 알고, 그렇게 보며, 그렇게 믿고 이해하여 어떠한 법상도 내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설한다. 그 법상도 법상이 아니라 단지 이름일 뿐이라는 진리를 여기에서는 거듭 설하고 있다.

‘상(相)’이란 바로 현상이다. 견(見)‘이란 자신의 견해로서 정신적인 영역에 속하며 지견(知見)은 생각, 관념(觀念), 관점(觀點) 등을 가리킨다. 이 지견은 중생의 알음알이를 말하며 상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불법 즉 마음을 찾는 공부는 이론으로 따져 들어가는 공부가 아니다. 이렇게 헤아리고, 저렇게 생각하고, 의심하고, 분석하여 이해하는, 세속적 지견을 버리지 못하면 평생을 공부해도 불교를 제대로 알 수 없다. 지견하여 앎을 이룬 것은 번뇌의 뿌리이며 그것은 무명(無明)의 근본인 것이다. 지견하는 그 견(見)조차 없애고 최후로 공(空)과 맞닥뜨려야만 진정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소승의 불법은 계(戒) 정(定) 혜(慧) 해탈(解脫) 해탈지견(解脫知見)의 다섯 순서로 되어 있다. 계율을 철저히 지키며, 정을 닦아서, 그 정으로부터 지혜를 계발하여 도를 얻는다. 도를 이루어 일체의 고통으로부터 해탈했다. 하더라도 그 경계는 여전히 물질세간의 속박에 얽혀 있는 지견(知見)이 것이다. 심성에 남아있는 알음알이인 지와 견마저 해탈한다면 최후에 철저한 공에 이르게 된다는 가르침인 것이다.

그러므로 불타는 지견을 제대로 가르쳐 주고자 수보리에게 묻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내가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버리라고 말했다. 한다면 이 사람은 내가 말한 의미를 제대로 이해했으며 진정으로 불법을 배우며 또 불법을 잘 이해했다고 할 수 있겠는가? 라고

 

동일한 논리의 답변이지만 또 한번 상식을 뒤집는 정반대의 대답을 하고 있다. 불타가 사상(四相)을 버리라고 말씀하셨지만, 수보리 자신이 이해하기에는 사실은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라는 것이 제대로 있어서 그렇게 설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본래부터 실체가 없으니 본래 없는 것을 버리라는 그 말씀도 실체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하나들어 보면 만약 어떤 어린애가 간밤의 꿈에 본 진귀한 장난감을 꿈을 깨서도 잊지 못하고 운다고 치자. 어린애가 참으로 지혜로워서 꿈속에서 보았던 장간감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님을 안다면 안타까워 하면서 울지 않을 텐데 꿈속의 장난감이 실재한다고 여기기 때문에 잊지 못하고 우는 것이다. 이 때 어머니가 아이에게 꿈속의 장난감은 얻을 수 없는 허망한 것이니까 버리라고 타이르면서 손에 맛있는 사탕을 쥐어주었다면, 어머니가 아이에게 버리라고 한 장난감은 어머니가 볼 때는 없는 것이다. 다만 아이가 있지도 않는 장난감 꿈을 꾸어서 있다고 착각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까 어머니 입장에서는 아이에게 꿈속의 장난감을 아무리버리라고 했어도 어머니에게 장난감이 있어서 아이를 타이른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처럼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도 사실은 실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버리라고 하는 말도 역시 성립할 수 없는 것이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사람은 일체의 법에서 마땅히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고, 이와같이 믿고 이해하여, 마음에 법의 상을 지어서는 안되느니라. 수보리야! 말한 바의 법상이라고 하는 것은, 여래는 바로 법상이 아니고 그 이름이 법상이라고 설하느니라.”

해석 : 그 동안 계속 설해왔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법이 있는 것이냐는 문제에 대한 마지막 결론을 설하고 있다. 일체법은 본래 그대로 여여해서 차별이 없는 것이므로, 마땅히 그대로 여여하게 알고, 여여하게 보고, 그렇게 믿고 이해할 뿐, 어떤 법이 있어서 정각을 얻는 것이라든가, 법이 없어야 얻는 것이라든가 하는 법이란 생각을 내지 말며 모든 것이 공하다는 것을 깨달음의 눈으로 보라는 것이다.

법상(法相)이란 생각을 일으켜 만들어 낸 분별을 말한다. 오로지 이 방편을, 이 방법만이 최고라고 주장한다면 그 배경에는 법상이 있다. 이 수행이 최고이고, 저 방편은 나쁜다든가, 이 경전은 높은 수준이고, 저 경전은 낮은 수준이라든가. 이 법이 정법이고, 저 법은 사법이다 하여 집착하는 것이 법상이다. 그 모든 분별을 버리고 상이 없는 공의 마음으로 법조차 버려야 한다는 것을 ‘법상도 법상이 아니고 그 이름이 법상이다’라고 설하는 것이다.

 

 

 

Section XXXII. The Delusion of Appearances

 

 

 

Subhuti, someone might fill innumerable worlds with the seven treasures and give all away in gifts of alms, but if any good man or any good woman awakens the thought of Enlightenment and takes

even only four lines from this Discourse, reciting, using, receiving, retaining and spreading them abroad and explaining them for the benefit of others, it will be far more meritorious.

Now in what manner may he explain them to others? By detachment from appearances-abiding

in Real Truth. -So I tell you-

 

Thus shall you think of all this fleeting world:

A star at dawn,a bubble in a stream;

A flash of lightening in a summer cloud,

A flickering lamp,a phantom,and a dream.

 

When Buddha finished this Discourse the venerable Subhuti,together with the bhikshus, bhikshunis,

lay-brothers and sisters,and the whole realms of Gods, Men and Titans, were filled with joy

by His teaching, and, taking it sincerely to heart they went their ways.

 

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응화비진분 제삼십이

須菩提 若有人 以滿無量阿僧祇世界 七寶 持

수보리 약유인 이만무량아승지세계 칠보 지

用布施 若有善男子善女人 發菩薩心者 持於

용보시 약유선남자선여인 발보살심자 지어

此經 乃至四句偈等 受持讀誦 爲人演說 其福

차경 내지사구게등 수지독송 위인연설 기복

勝彼 云何爲人演說 不取於相 如如不動

승피 운하위인연설 불취어상 여여부동

何以故

하이고

一切有爲法

일체유위법

如夢幻泡影

여몽환포영

如露亦如電

여로역여전

應作如是觀

응작여시관

佛說是經已 長老須菩提 及諸比丘 比丘尼 優

불설시경이 장로수보리 급제비구 비구니 우

婆塞 優婆夷 一切世間 天人 阿修羅 聞佛所

바새 우바이 일체세간 천인 아수라 문불소

說 皆大歡喜 信受奉行

설 개대환희 신수봉행

 

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반야바라밀경  眞言

진언

那謨 婆伽跋帝 喇壞 波羅弭多曳 唵

나모 바가발제 발라괴 파라미다예

伊利底 伊室利 輸盧馱 毘舍耶 毘舍

이리저 이실리 수로타 비사야 비사

耶 莎婆訶

사바하

 

     응화비진분 제 32 (응화신은 참된것이 아니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무량한 아승지 세계에 가득 찬 칠보를 가져다가 보시를 하더라도, 만약 다른 선남자 선여인이 보살심을 일으켜 이 경 내지 사구게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해 연설해 준다면, 이 복이 저 칠보의 복보다 뛰어나리라.
어떻게 남을 위해 연설한단 말인가?
상을 취하지 않고, 여여하게 있는 그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니라.
왜냐하면
분별망상에 의해 나타난 일체의 법(유위법)일시적인 꿈이요, 환이요 물거품이요 , 그림자요, 아침 이슬이요, 번갯불이다. 응당 이렇게 볼 지어다

 

부처님께서 이 경의 설하심을 마치셨다. 장로 수보리와 여러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그리고 일체세간의 하늘과 인간과 아수라가 부처님이 설하는 바를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며, 금강반야바라밀경을 믿고 받아들이고 받들어 행하였다.
해석 : 제32 응화비진분은 응신(應身)과 화신(化身) 즉 색신(色身)은 참되지 않으며 법신(法身)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금강경]을 설하신 여래는 응화신(應化身)에 불과한 것으로 그 응화신도 여기에서 일체유위법(有爲法)을 게송으로 설하듯이 허망한 것이므로 법신이 진정한 참이라는 것을 대의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위법의 최대의 물질적 보시보다도 무위법(無爲法)의 [금강경]사구게의 수지독송과 타인을 위해 설해주는 복덕이 더욱 크다는 것을 거듭 강조하고, 현상세계에서의 일체의 유위법은 바로 꿈과 같은 것이고, 환상과 같은 것이며, 거품과 그림자와 같은 것이니 모두가 이슬과 같이 사라지고 번개같이 사라진다는 것을 마땅히 알고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대단원의 설법을 마친다. 그래서 수보리를 비롯한 모든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등 사부 대중과 천. 인. 아수라 등 일체중생들이 모두 크게 환희하고 기뻐하며 [금강반야바라밀경]을 믿고 받아들이고 받들어 행하였다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금강경]은 실상법문(實相法門)이다 불타가 우주와 인생과 나와 남의 모든 법을 깨닫고 있는 그대로 설하신 것이다. 중생이 가지고 있는 모든 가치 기준이 이를 받아들임으로서 안팎으로 날뛰던 번뇌망상이 스스로 약하 되는 것이다. 이처럼 세밀하고 반복적인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공한 도리를 깨치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게으름 탓이다. 불타는 그 곳에 갈 수 있는 방법까지는 가르쳐 주신다. 그러나 그 길을 가고 안 가고는 우리 자신의 문제이다. 배고픈 사람에게 밥이 있는 곳을 알려 주고 , 아픈 이에게 병을 치유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지만 밥을 먹어 소화시키고, 약을 먹어 병을 치유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몫인 것이다.

 

남을 위해 설하는 근본적인 마음가짐과 자세를 여기에서 제시하고 있다. ‘상을 취함이 없이 마음이 여여하게 움직임 없이 행하라’는 것이다. 그 어디에도 머무름 없이 여여부동(如如不動)하는 진여자성의 청정심자리에서 무념으로 연설을 하라는 것이다. 세간의 명리나 공경을 구해서 하는 연설은 바로 큰 상(相)에 떨어지는 것이니 지금까지 불타가 설해온 것처럼 여여부동으로 무념속에서 연설을 하라는 것이다.

 

일체는 ‘안이비설신의’와 ‘색성향미촉법’을 말한다. 눈으로 바라보는 세계, 귀로 듣는 세계, 코로 냄새 맡는 세계, 혀로 맛보는 세계, 감촉으로 느끼는 세계, 마음으로 분별하는 세계를 떠나서는 다른 법을 세울 수 없다는 것이다. 외와 같은 일체법, 인연따라 만들어진 이 유위법은 조건이 다하면 흩어진다. 만들어지면 깨지고, 일어난 것은 사라지며, 태어난 것은 죽는 것이 유위법인 것이다.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일체의 생멸법은 꿈이다. 실제로 없는 것인데 있는 것처럼 존재하는 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것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고 , 견고하지도 못하다. 유위법은 늘 바뀐다. 그러니 건강을 뽐낼 수 있겠는가? 생명을 자랑할 수 있겠는가? 이렇듯 인간이 누리고 있는 것,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은 본질적으로 물거품이다. 꿈을 잡을 수 없고, 물거품을 잡을 수 없고, 그림자를 잡을 수 없다. 중생의 육신에 의해 바라본 세계와 인연에 따라 만들어진 의식마음도 잡을 수 없다. 이렇듯 안과 밖과 중간의 어떤 법도 나의소유로 할 수 없이 공하다는 것을 철저히 깨달을 때 허공과 같은 법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많은 불교경전이 끝나는 전형적인 양식으로 끝나고 있다. 불타는 우리 중생들을 피안의 세계로 인도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설해 왔으며, 이제 그 막을 내리고 있다.불타는 한때 기수급고독원에서 많은 큰 비구 보살들과 함께 하시면서 수보리의 질문을 시작으로 [금강경]의 세계를 열게 되었다. 어떻게 마음을 항복시켜 불타의 세계, 피안의 세계에 우리 중생들을 이르게 할 것인가를 불타는 가지가지의 땟목의 법을 설하시면서 우리를 싣고 여기까지 온 것이다. 이 뗏목을 함께 타고 온 자는 수보리와 여러 비구, 비구니, 그리고 재가불자인 우바새, 우바이 뿐만 아니라 삼계의 일체 세간에 살고 있는 하늘, 사람, 아수라 등이 지금까지 불타가 설해 온 [금강경]의 법을 듣고 크게 기뻐하며, 이를 받들어 피안의 세계, [금강반야바라밀]의 세계에 이르게 된 것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진언 나모 바가바테 프라즈나 파라미타예 옴  이리시 우수리  수리티 부유예 부유예 스바하 (3)

 

 

 

 

John Worsley - Creating Of Creation 05:45